[儒林 속 한자이야기](23)
유림 103에 多辯이 나온다.‘많다’는 뜻의 多는 제사지낼 때 고기(月:肉고기 육)를 몇겹 포개놓은 것에서,또는 저녁(夕)이 매일 오듯 시간이 무궁하게 온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두 說(말씀 설)이 있다.후자와 관련하여 夙(일찍 숙),夜(밤 야),夢(꿈 몽)같은 한자가 만들어졌는데,夕자가 들어간 한자는 시간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儒林(유림)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儒林속 한자이야기] (25) (0) | 2020.09.13 |
---|---|
[儒林속 한자이야기] (24)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22)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21)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20)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