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儒林 속 한자이야기](22)

bindol 2020. 9. 13. 05:15

[儒林 속 한자이야기](22)

 

유림 99에 憂憤이 나온다.憂는 마음 속에 근심이 있음을 뜻하는 글자다.심장을 본뜬 心( )이 들어간 한자는 거의가 忌(꺼릴 기:己 몸기+心),忍(참을 인),忘(잊을 망),忙(바쁠 망),忿(분할 분),怒(성낼 노),悟(깨달을 오),悲(슬플 비),悼(슬퍼할 도),情(뜻 정),惻(슬퍼할 측),感(느낄 감),懺(뉘우칠 참)처럼 그 뜻은 마음(心, )과 관련되어 있으며,음은 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된다.憂자가 들어간 한자는 優(넉넉할 우,광대 우), (탁식할 우), (곰방메 우)처럼 ‘우’라고 읽는다.무성하게 돋아난 풀을 본뜬 卉(풀 훼)자와 조개를 본뜬 貝(조개 패)자로 구성된 憤자는 언짢은 일로 마음이 부풀어오름(賁 클 분)을 뜻하는데,분함도 마음의 한 작용이므로 이 들어간다.賁자가 들어간 한자 역시 墳墓(분묘)라고 할 때의 墳(무덤 분),噴水(분수)라고 할 때의 噴(뿜을 분)처럼 ‘분’이라 읽는다.

우리는 살면서 이런저런 근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그런데 근심 속에는 다음 일화와 같이 알고 보면 근심할 것이 아닌 쓸데없는 근심을 하는 경우가 있다.열자(列子)에 보면 중국 杞(기)나라에 근심이 매우 많은 사람이 있었다.그는 “만약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하나.”하며 잠도 못자고 食飮(식음:먹고 마심)도 끊었다.그러자 이 일을 안 한 사람이 그에게 “하늘은 공기만 차 있을 뿐 아무것도 없는 것이니 무너질 일이 없소.”라며 안심시켰다.그러자 걱정 많은 사람은 “그렇다면 해나 달 또는 별이 떨어지지는 않겠소? 그것들이 떨어지면 이 세상은 어찌 되겠소.”라며 계속 근심했다.이에 “해와 달과 별은 공기 속에서 빛나고 있을 뿐이니,그것들이 떨어져도 우리가 부딪쳐 죽지 않을 것이니 근심 마시오.”라며 이해시켰다.그러자 이번에는 “땅이 무너지면 어떡하오.”라며 계속 걱정하는 것이었다.이에 “땅은 흙이 쌓인 것인데 흙이 四方에 가득 차 있어서 우리가 뛰고 밟아도 꼼짝하지 않으니 걱정 마시오.”라며 근심을 풀어주었다.여기서 나온 말이 ‘杞나라 사람의 근심’이라 해서 杞憂 또는 杞人之憂(기인지우)인데,이는 ‘쓸데없는 걱정을 하다.’라는 뜻이다.우리 주위에서도 어설프게 알아서 그것 때문에 마음의 병을 얻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으니,안타까운 일이다.

그런가 하면 다음 일화에서 나온 識字憂患(식자우환:학식이 있는 것이 도리어 근심을 사게 됨)인 경우도 있다.유비(劉備)가 諸葛亮(제갈량)을 영입하기 전에는 徐庶(서서)가 유비의 참모로 曹操(조조)를 여러모로 어렵게 만들었다.이에 조조는 서서의 어머니가 자신의 영역인 魏(위)나라에 있다는 점과,서서가 孝子(효자)라는 점을 이용하여 서서를 자기 편으로 만들고자 하였다.그의 일환으로 조조의 참모 程昱(정욱)의 꾀에 따라 서서의 어머니 筆體(필체)를 흉내내어 서서에게 급히 집에 오라는 편지를 보냈다.

편지를 받은 서서가 歸家(귀가)하자 평소 학식이 높고 의리를 중시하며 늘 한 君主만 잘 섬기라고 아들을 격려해온 그의 어머니가 놀라 自初至終(자초지종:처음부터 끝까지)을 알아보니,그것은 자신의 필체를 흉내낸 가짜 편지 때문이었음을 알았다.이에 서서의 어머니는 ‘女子가 글자(字)를 안다(識)는 것(者)은 근심(憂患)을 부르는 원인이 되는구나.’라고 탄식했다.

이상으로 볼 때 憂憤은 근심과 분함 또는 근심하며 분하게 여김 등으로 해석된다.佛經(불경) 중 華嚴經(화엄경)에 一體唯心造(일체유심),즉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어낸 것에서 비롯된다는 말이 있다.사람의 온갖 감정인 喜怒哀樂(희로애락:기쁨과 노염과 슬픔과 즐거움)은 어느 상황에서라도 자신이 조정할 수 있어야 하는 바,이를 위한 수양이 중요하지 않을까 한다.

박교선 <교육부 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