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22)
유림 99에 憂憤이 나온다.憂는 마음 속에 근심이 있음을 뜻하는 글자다.심장을 본뜬 心( )이 들어간 한자는 거의가 忌(꺼릴 기:己 몸기+心),忍(참을 인),忘(잊을 망),忙(바쁠 망),忿(분할 분),怒(성낼 노),悟(깨달을 오),悲(슬플 비),悼(슬퍼할 도),情(뜻 정),惻(슬퍼할 측),感(느낄 감),懺(뉘우칠 참)처럼 그 뜻은 마음(心, )과 관련되어 있으며,음은 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된다.憂자가 들어간 한자는 優(넉넉할 우,광대 우), (탁식할 우), (곰방메 우)처럼 ‘우’라고 읽는다.무성하게 돋아난 풀을 본뜬 卉(풀 훼)자와 조개를 본뜬 貝(조개 패)자로 구성된 憤자는 언짢은 일로 마음이 부풀어오름(賁 클 분)을 뜻하는데,분함도 마음의 한 작용이므로 이 들어간다.賁자가 들어간 한자 역시 墳墓(분묘)라고 할 때의 墳(무덤 분),噴水(분수)라고 할 때의 噴(뿜을 분)처럼 ‘분’이라 읽는다. |
'儒林(유림)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儒林속 한자이야기] (24) (0) | 2020.09.13 |
---|---|
[儒林 속 한자이야기](23)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21)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20)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19)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