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 (114)四古紙(사고지)
유림(554)에는 ‘四古紙’(넉 사/예 고/종이 지)가 나온다.四古紙는 習字(습자)나 告祀(고사)를 지낼 때 燒紙(소지)로 쓰는 작은 白紙(백지)로, 보통 韓紙(한지)보다 더 얇다.
‘四’의 원래 字形(자형)은 네 가닥의 줄을 그은 형태였다. 그러던 것이 음이 똑같은 짐승의 얼굴 형태를 나타낸 四로 대체되었다.用例(용례)에는 ‘四顧無親(사고무친: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張三李四(장삼이사:이름이나 신분이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등이 있다.
‘古’의 字源(자원)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온 이야기’‘타악기의 일종’이라는 異說(이설)이 분분하다.
‘古今獨步(고금독보:고금을 통틀어도 비교할 만한 사람이 없을 만큼 뛰어남),古典(고전:오랫동안 많은 사람에게 널리 읽히고 모범이 될 만한 문학·예술작품),最古(최고:가장 오래됨)’등에 쓰인다.
‘紙’는 ‘종이’를 뜻하기 위해 만들어진 글자. 종이를 발명하기 이전까지는 천 조각에 글씨를 썼기 때문에 ‘’(가는 실 멱)이 意符(의부)로 쓰였고,‘氏’(성씨 씨)는 音符(음부) 역할을 한다.用例로 ‘紙背(지배:문장의 내면에 포함된 뜻),地上談兵(지상담병:실제에 부합되지 않는 공론을 이야기함),韓紙(한지:우리 고유의 제조법으로 만든 종이)’ 등이 있다.
최근 기원전 250년경 만든 종이가 발굴되어 後漢(후한) 和帝(화제)때 채륜(蔡倫)이 처음 만들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 전래와 같은 시기부터 韓紙(한지)를 만들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韓紙는 纖維質(섬유질)이 길기 때문에 장기간 보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防寒(방한)과 通風(통풍)이 잘 된다. 또한 반투광성이 있어 直射光(직사광)으로부터 눈을 보호해주는 강점이 있다.
韓紙는 닥나무 採取(채취),整選(정선:껍질을 며칠간 물에 담근 뒤 검은 표피를 벗김),水浸(수침:하얀 표피를 물에 담가둠),煮熟(저숙:부드럽게 풀어진 표피를 끓임),水選(수선:끓는 물에 찐 표피를 흐르는 물에 헹궈 불순물을 빼냄),漂白(표백:이틀정도 말리면서 표백),除塵(제진:이물질을 손으로 일일이 골라냄),助解(조해:원료를 방망이로 두드려 단섬유로 만듦),配合(배합:단섬유로 변한 원료와 닥풀즙을 섞음),抄紙(초지:접착제가 섞인 액상 원료를 발로 퍼서 평평하게 함)의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 韓紙는 용도에 따라 40가지가 넘는 이름이 붙어있지만 종이의 두께에 따라 白紙(백지),壯紙(장지),角紙(각지),還紙(환지)로 구분한다.
白紙는 용도에 따라 窓戶紙(창호지),四古紙(사고지),油彩紙(유채지) 등으로 나뉜다.壯紙는 白紙보다 조금 두껍기 때문에 그림이나 글씨를 쓰기에 알맞다. 용도에 따라 笞壯紙(태장지),映窓紙(영창지),籠扇紙(농선지),詩箋紙(시전지)로 불린다.角紙는 壯紙보다 더 두껍고 강인하다. 장판 용지나 기름먹인 종이로 加工(가공)해 쓴다.還紙는 헌 종이를 收集(수집)하여 가공한 再生紙(재생지)인데, 주로 온돌의 初褙(초배)용지로 사용했다.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