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유림 속 한자이야기] (101) 花石亭(화석정)

bindol 2020. 9. 13. 05:50

[유림 속 한자이야기] (101) 花石亭(화석정)

 

 

儒林 (484)에는 ‘花石亭’(꽃 화/돌 석/정자 정)이 나온다.花石亭은 坡州市(파주시) 栗谷里(율곡리)의 臨津江(임진강)가 벼랑에 자리 잡고 있는 亭子(정자)이다.

원래는 冶隱(야은) 길재(吉再)의 遺址(유지)였다고 한다.1443년 栗谷의 5대조가 세운 것을 1478년에 栗谷(율곡)의 曾祖父(증조부)가 보수할 당시 이숙함에 依賴(의뢰)하여 花石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그 후 栗谷이 重修(중수)한 이래 여러 번의 火魔(화마)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花’자는 풀의 상형인 ‘艸’와 ‘ (인:바로선 사람을 뜻함)’,‘匕(비:거꾸로 서있는 사람)’가 어우러진 글자이다.花는 ‘華(화)’의 俗字(속자)였으나 花는 ‘꽃’,華는 ‘화려하다’는 뜻으로 分化(분화)되었다.

用例로 ‘雪花(설화:나뭇가지에 꽃처럼 붙은 눈발),解語花(해어화: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花信(화신:꽃이 핀 소식)’등이 있다.

‘石’자는 甲骨文(갑골문)의 발견으로 손아귀에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날이 있는 돌의 상형임이 밝혀졌다.‘石交(석교:돌같이 변하지 않는 사귐),石油(석유:땅 속에서 천연으로 나는 가연성 기름),他山之石(타산지석: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 등에 쓰인다.

‘亭’은 높이 지은 집의 상형인 ‘高’(고)에서 ‘口’를 빼고 音符(음부)인 ‘丁’(정)을 더한 글자이다.用例로는 ‘料亭(요정:요릿집),亭閣(정각:정자),亭然(정연:우뚝 솟은 모양)’ 등이 있다.

화석정에는 율곡이 이른바 ‘八歲賦詩’(팔세부시)를 지은 곳이라는 만큼이나 유명한 逸話(일화)가 전한다.

율곡은 花石亭(화석정)을 고치면서 관솔을 썼고, 이곳에서 默想(묵상)을 할 때면 항상 기름걸레로 기둥과 바닥을 닦도록 하였다.

壬辰倭亂(임진왜란) 8년 전, 나라가 어려울 때 열어보라는 封書(봉서)를 남기고 逝去(서거)하였다. 당시엔 그 뜻을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壬辰年(임진년) 4월 그믐날, 퍼붓는 비를 맞으며 선조의 蒙塵(몽진) 行列(행렬)이 임진강에 도달한다. 비바람 때문에 등불을 밝힐 수 없어 咫尺(지척)을 분간할 길이 없다.

이때 都承旨(도승지) 이항복(李恒福)은 율곡의 遺言(유언)을 떠올리며 화석정에 불을 놓는다. 관솔에 기름을 먹여두었기 때문에 억수 같은 비에도 훨훨 타올라 선조일행이 무사히 渡江(도강)할 수 있었다고 한다.

율곡의 예지력을 보여주는 또 한편의 일화가 있다. 이항복에게 ‘슬프지 않은 울음에는 고춧가루 싼 주머니가 좋다.’는 수수께끼 같은 말을 남긴 것이 8년 전.百尺竿頭(백척간두)의 위기에 처하자 明(명)나라에 援兵(원병)을 청하는 딱한 처지에 놓였다.

이여송(李如松)이 이끄는 4만 원군이 到着(도착)하였으나 그들은 싸울 의지가 없었다. 이때 接賓使(접빈사)로 나선 이항복은 외교 관례상 感泣(감읍)하는 표정을 지어야 할 처지였으나 마음이 내키지 않았다. 그 때 이항복의 뇌리에는 율곡 선생의 가르침이 電光石火(전광석화)처럼 스쳤다.

일부러 고춧가루를 싼 수건을 넣고 가니 저절로 눈물이 났다. 상대방의 눈에는 감격해 맞이하는 모습으로 보일 뿐이었다. 율곡의 가르침을 뒤늦게 깨달은 悔恨(회한)의 눈물까지 겹쳤으니 말이다.

김석제 경기 군포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