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재 군사안보연구소장
1920년 10월 21일 오전 8시쯤 중국 지린(吉林)성 허룽(和龍)시 백운평. 북로군정서 제2제대 600명이 숨을 죽이며 매복하고 있었다. 드디어 일본군이 나타났다. 제2제대장 철기(鐵驥) 이범석의 총성에 야스카와 지로(安川二郞) 소좌가 고꾸라졌다. 독립군 600여 명은 일제사격을 시작했다. 26일까지 청산리 계곡 곳곳에서 벌어진 청산리 전투의 시작이었다. 항일 무장투쟁사도 편가르기 의혹 항일 무장투쟁사상 최대 승전인 청산리 전투가 100주년을 맞았다. 그런데 기념행사는 ‘비교적’ 조용하게 치러졌다. 일본과의 관계에서 날을 세우고, 국군의 뿌리를 광복군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한 문재인 정부라면 대대적으로 띄울 만한데도 말이다. 의외다. 24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정세균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인사·독립유공자 유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청산리대첩 전승 제100주년 기념식’이 열렸을 뿐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는 없었다. 왜 그럴까. ![]() 1920년 청산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독립군. 맨 앞에 다리를 꼬고 앉은 사람이 김좌진 장군. [사진 독립기념관] 21일 한국광복군동지회가 주관한 ‘한국독립군 3대 대첩 제100주년 기념식’에서 단서를 찾아보자. 3대 대첩은 봉오동·청산리·대전자령 전투를 뜻한다. 대전자령 전투는 1933년에 있었다. 청산리 전투를 따로 떼어내기보다는 봉오동 전투와 한데 묶으려는 게 여권의 의도라는 합리적 의심이 든다. ![]() 정세균 국무총리(가운데)가 24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 청산리대첩 전승 제100주년 기념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사진 국가보훈처] 문 대통령은 지난달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평전』을 독서의 달 추천도서로 권장했다. 관련 사정을 잘 아는 정부 소식통은 “문 대통령이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며 “언제부터 공식 문서엔 ‘봉오동·청산리’로 쓰고 있다”고 귀띔했다. 봉오동 전투는 지난해 영화로 만들어졌고, 여당의 실세 국회의원이 홍범도장군 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 김좌진(左), 이범석(右) 그런데도 청산리 전투는 봉오동 전투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한 항일 무장투쟁의 한 사례라는 게 문재인 정부의 관점으로 보인다. 짐작건대 정권의 역사 인식과 관련 있다. 여권은 홍범도-김원봉으로 이어지는 좌파 계열의 항일 무장투쟁도 제대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문 대통령은 올 현충일 때 약산 김원봉을 거론하며 “임시정부가 좌우합작을 이뤄 광복군을 창설했다”고 말했다. 약산은 독립운동을 했지만, 북한 정권 수립에도 참여했다. 좌우 이념을 극복한 애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발언이라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었다. 홍범도 장군은 나중에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
|
'新聞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청문회 답변 베껴내고 엉터리 판결, 이런 사람이 선관위원장 (0) | 2020.10.29 |
---|---|
권력형 비리가 검사 게이트로…사기꾼·법무부 '추악한 거래'[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8 |
[양성희의 시시각각] 차라리 광장을 내버려두라[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8 |
[김규나의 소설 같은 세상] [83] 단 한 사람의 죽음도 가벼이 여길 수 없는 이유 (0) | 2020.10.28 |
[데스크에서] 무기가 된 자원, 대책 있나 (0) | 2020.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