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87] 諸姑伯叔은 [88] 猶子比兒라

bindol 2020. 11. 12. 18:38

[87] 諸姑伯叔[88] 猶子比兒

고모와 백부숙부 아버지의 형제자매

조카들은 자식처럼 사랑해야 할 일이다.

 

 

[87] 諸姑伯叔: 모든 고모와 백부, 숙부는

[88] 猶子比兒: 아들같이 대하고 자기 아이에 견준다.

(모두 제) (할미 고, 고모 고) (맏 백) (아재비 숙)

(오히려 유, 같을 유) (아들 자) (견줄 비) (아이 아)

 

[87] 諸姑伯叔: 모든 고모와 백부, 숙부는

言父之姉妹兄弟伯叔卽兄弟之稱이어늘 而俗以伯爲父之兄하고 叔爲父之弟하니 此亦承俗謬也

이는 아버지의 자매와 형제를 말한 것이다. 伯叔은 형제의 칭호인데, 세속에서는 을 아버지의 형이라 하고 을 아버지의 아우라 하니, 이 또한 세속의 오류를 그대로 따른 것이다.

 

[88] 猶子比兒: 아들같이 대하고 자기 아이에 견준다.

言兄弟之子也自諸姑伯叔視之하면 猶己子而比己兒也

이는 형제의 아들을 말한 것이다. 여러 고모와 백숙부의 입장에서 보면 조카는 자기 자식과 같아 자기 아들에 비하게 된다.

 

[해설]

諸姑伯叔은 아버지의 형제자매를 가리키는데, 고모와 백부 숙부의 입장에서 보면 조카는 자기 자식과 같아서 자기 아이와 같이 대하게 된다. 혈연의 정을 담아낸 글이다.

 

[참고] 계절과 달력(월령과 절기)

농경 중심의 고대 사회에서는 풍요로운 수확이 오로지 하늘의 보살핌과 조상의 恩澤에 근본한다고 보았으므로, 풍년을 기원하거나 추수에 감사하기 위한 제사를 중시하였다. 는 이러한 祭禮儀式에서 기원하며, 그 정신은 報本(태어나거나 자라난 근본을 잊지 않고 그 은혜를 갚음)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다.

字義音韻이 상통하는 것은 사람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 가 본체가 됨을 말한다. 몸의 균형조화는 신체 관절(關節)에 의하듯이 절도있는 행동에 의해 떳떳한 예의법도가 세워지므로 보통 을 묶어 禮節이라 이른다.

계절변화(천지절후) 또한 신체골절, 예의범절과 같다. 신체상으로 견주면 팔다리 四肢는 춘하추동의 사계절, 신체를 지탱하는 척추의 2424, 중간 72골절은 72, 세부 골절인 360마디는 360일에 합한다고 한다.

때의 動靜變化는 음양의 조화에 의하며, 주야교대와 사시운행을 이루는 본체로서 음양의 精華에 해당하는 것이 다름 아닌 해와 달이다. 고대 동양사회에서는 태극이 음양 사상 팔괘를 낳는다는 易理에 준거하여, 달력(일명 태음태양력)의 기본 법도를 세웠다. 예를 들면 오전과 오후(또는 낮과 밤)로 양분한 것은 陰陽 2분의 이치, 朝夕晝夜春夏秋冬(22)으로 때를 정한 것은 四象의 이치, 節氣(824: 4계에 立春 立夏 立秋 立冬을 포함한 것이 8이라고 하니, 季節이란 말이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8절을 다시 각기 3단계로 나눠 24로 하고, 이를 다시 3분하여 72로 절기와 기후를 세분한다.)로 세분한 것은 八卦의 이치에 따른 것이다.

대략 12년마다 태양계를 1周天하는 목성을 歲星이라고 하여 ()의 근원을 세우고, 태양과 달이 교차하는 朔望月 주기에 따라 한해의 달력을 12월로 정하며, 하루의 시간을 12(12地支)한 것도 大成卦6효로 往來反復하는 이치에 근거한 것이다.

태음태양력에서는 4계절의 변화를 알기 어렵다. 경우에 따라서는 역수와 계절이 한달의 차이가 나기도 하므로 달력에서는 윤달을 두는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24(일반적으로 24節氣라고 함)를 정하여 쓴다. 1년은 동지와 하지를 분기점으로 하여 양분되며, 동지에서 하지 직전까지는 햇볕(양기운)이 점차 길어져서 더워지는(: 陰消陽長) 때이고, 하지에서 다시 동지 직전까지는 그늘(음기운)이 점차 길어져 추워지는(: 陽消陰長) 때이다.

24는 춘분점을 기준점(0)으로 하여 태양이 黃道상을 동쪽으로 이동하는 각도를 15도의 간격으로 24등분한 것으로 12節氣12中氣로 되어 있다(아래의 24기에서 앞쪽이 節氣, 뒤쪽이 中氣이다.). 12절기는 매달이 시작하는 때이고 12중기는 매달의 중간에 해당하는 때로 본다. 윤달을 두어야 하는 해의 경우는 한 달의 중심인 중기가 들어 있는 달을 피해서[無中置閏) 놓는다.

예로부터 정월부터 섣달까지 기후의 변화와 온갖 생산물의 성숙을 차례로 읊은 노래를 月令歌라고 한다. 월령은 달력상에 있어서 정월인 1월부터 섣달인 12월까지 한해 동안의 政事儀式, 농가행사를 월별로 구별하여 기록한 표를 말한다.

민간에서는 胞胎養(겨울) 生浴帶() 冠旺衰(여름) 病死葬(가을)을 붙여 한해의 운을 살피는 풍습이 있는데, 만물이 쇠락하는 가을철의 病死葬 運의 경우를 三災라고 하여 삼가고 경계한다.

[春季] : 木旺之節

正月(寅月) : 33양으로서 음양이 고르고 천지의 交泰

이루어 만물을 생성하는 초봄(孟春)이자 한해의 머릿달.

二月(卯月) : 24양으로서 양이 음보다 성하기 시작하며,

만물이 문을 열고 밖으로 나와 약동하는 한봄(仲春).

三月(辰月) : 15양으로서 양 기운이 크게 떨치며, 農事

가장 분주한 늦봄(季春).

[夏季] : 火旺之節

四月(巳月) : 純陽(6)으로서 양 기운이 극성한 초여름(孟夏)

五月(午月) : 51음으로서 음이 始生하여 양을 만나는 때이며, 낮이 가장 긴 한여름(仲夏).

六月(未月) : 42음으로서 음이 漸長하여 양이 물러나

피하는 늦여름(季夏).

[秋季] : 金旺之節

七月(申月) : 33음으로서 음이 漸長하여 음양이 기운이

막히고 천지가 不交하며, 곡식이 익고 搗精하는 초가을(孟秋).

八月(酉月) : 24음으로서 음 기운이 성하여 만물이 자기

처소를 찾아 들어가는 때이며, 햇곡식으로 술()을 빚어

천지와 조상에 제사지내는 한가을(中秋).

九月(戌月) : 15음으로서 음 기운이 양 기운을 멸하려는 때이며,

만물이 쇠락하는 늦가을(季秋).

[冬季] : 水旺之節

十月(亥月) : 純陰(6)으로서 음 기운이 극성한 초겨울 (孟冬).

十一月(子月) : 51양으로서 양 기운이 始生하며, 밤이 가장

긴 한겨울(仲冬).

十二月(丑月) : 42양으로서 양 기운이 漸長하며, 어린

생명이 바야흐로 땅 속에서 자라는 때인 늦겨울(季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