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

[스크랩] 雜卦傳 2

bindol 2018. 7. 14. 08:50

.

 

雜卦傳

 

謙 輕而豫 怠也.
噬嗑 食也 賁 无色也.
兌 見而巽 伏也.
隨 无故也 蠱則飭也.
剝 爛也 復 反也.
晉 晝也 明夷 誅也.
井 通而困 相遇也.

 

 

 

謙 輕而豫 怠也.
噬嗑 食也 賁 无色也.

[本義] 白受采.

兌 見而巽 伏也.

[本義] 兌 陰外見. 巽 陰內伏.

隨 无故也 蠱則飭也.

[本義] 隨 前无故. 蠱 後當飭.

剝 爛也 復 反也.
晉 晝也 明夷 誅也.

[本義] 誅 傷也.

井 通而困 相遇也.

[本義] 剛柔 相遇而剛見揜也.

 

 

 

 

謙 輕而豫 怠也.
謙은 자기를 가벼이 여기는 것이요 豫는 태만히 하는 것이다.

 

謙 輕而豫 怠也. 겸은 경이예는 태야라.

1) 謙겸은 輕가볍고 豫예는 怠게으름이라.

2) 뜻풀이: 謙겸 ()은 존귀한 양 (구삼)이 스스로 남보다 가볍게 여겨 하괘로 내려오니 겸손한 상이고 (謙輕 겸경), 豫예 ()는 양 (구사)이 위에서 만족하고 있으니 게을러지는 것이다 (豫怠예태). 또 豫예는 미리 알아 준비하니 너무 자신을 갖게되어 게을러질 것을 경계한 것이다.

 

15. 地山謙 坤上艮下 (☷☶)

16. 雷地豫 震上坤下 (☳☷)

 

#1 謙겸과 豫예는 도전괘로 서로 짝을 지었다.

 

 

 

噬嗑 食也 賁 无色也.

噬嗑은 먹는 것이요, 賁(비)는 색이 없는 것이다.

 

噬嗑 食也 賁 无色也. 서합은 식야오 비는 무색야라.

1) 噬嗑서합은 먹는 것이요 賁비는 无色색이 없음이라.

2) 뜻풀이: 턱안에 물건이 있어 씹어 합하는 것이 噬嗑서합 ()이니, 噬嗑서합함으로써 먹는 것이다 (噬嗑 食서합식). 賁비 ()는 무색이라고 한 것은, 무색이라야 그 위에 치장할 수 있는 것이고, 또 賁꾸밀때마다 다른 색이 되어 일정한 색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무색이다 (无色무색).

 

21. 火雷噬嗑  離上震下 (☲☳)

22. 山火賁     艮上離下 (☶☲)

 

#1 噬嗑서합과 賁비는 도전괘로 서로 짝을 지었다.

 

[本義] 白受采.
白色이 채색을 받는다.

 

 

 

 

兌 見而巽 伏也.

兌는 나타남이요 巽은 엎드림이다.

 

兌 見而巽 伏也. 태는 현이손은 복야라.

1) 兌태는 見나타나는 것이고 巽손은 伏엎드림이라.

2) 뜻풀이: 兌태 ()는 음이 양 위에서 기뻐하니 나타나는 것이고 (兌見태견), 巽손 ()은 음이 양 아래에서 순히 엎드려 있는 것이다(巽伏손복).

 

58. 兌為澤(重兌澤)  兌上兌下  (☱☱

57. 巽為風(重巽風)  巽上巽下  (☴☴

 

#1 兌태와 巽손은 서괘전에서는 하경에 있는 괘로, 잡괘전의 상경에 섞인 12괘중 하나이다.

#2 兌태와 巽손은 도전괘로 서로 짝을 지었다. 또 서괘전에는 巽손이 兌태보다 먼저 배열 되었다. 즉 24섞임괘 중의 하나이다.

 

[本義] 兌 陰外見. 巽 陰內伏.
兌는 陰이 밖으로 나타난 것이요, 巽은 陰이 안에 엎드려 있는 것이다.

 

 

 

 

隨 无故也 蠱則飭也.

隨는 연고가 없는 것이요, 蠱는 삼가는 것이다.

 

隨 无故也 蠱則飭也. 수는 무고야오 고즉칙야라.

1) 隨수는 연고가 없고 蠱고는 경계하니라.

2) 뜻풀이: 隨수 ()는 바다속에서 우뢰가 움직이니 기뻐하며 따라서 일이 없는 것이고 (隨 无故수무고), 蠱고 ()는 산속에 바람이 드니 단풍이 들어 일이 생기는 것이다 (蠱則飭也 고즉칙야). 마땅히 일이 생기기전에 경계해야 한다 (飭칙). 또 隨수는 밑에 있는 양이 자연스럽게 움직여 올라가니 '无故무고'이고, 蠱고는 음이 분수를 모르고 망동해 올라오는 것을 경계해야 하는 것이다.

 

17. 澤雷隨 兌上震下 (☱☳)

18. 山風蠱 艮上巽下 (☶☴)

 

#1 隨수와 蠱고는 도전괘로 서로 짝을 지었다.

 

[本義] 隨 前无故. 蠱 後當飭.
따르기 전에는 연고가 없고, 일이 있은 뒤에 마땅히 삼가는 것이다.

 

 

 

 

剝 爛也 復 反也.
剝은 물크러짐이요, 復은 돌아옴이다.

 

剝 爛也 復 反也. 박은 난야오 복은 반야라.

1) 剝박은 爛헤어짐이오 復복은 反돌아옴이라. 爛란: 헤어질 란, 문드러진 란

爛 빛날 난(란)/문드러질 난(란)㉠빛나다, 밝다 ㉡화미하다(華美--), 화려하다(華麗--) ㉢곱다 ㉣무르익다, (꽃이)흐드러지다 ㉤문드러지다, 문드러지게 하다 ㉥(불에)데다 ㉦너무 익다, 지나치게 익히다 ㉧다치어 헐다 ㉨부스러지다

2) 뜻풀이: 剝 박 ()은 건의 양이 밑에서부터 차례로 허물어져 상구만 남았으니, 난숙한 과실이 껍질을 벗듯 헤어지는 것이고 (剝 爛박난), 復복 ()은 과실이 땅에 떨어졌다가 다시 씨앗이 발아되듯 자라나는 것이다 (復 反복반).

 

23. 山地剝  艮上坤下 (☶☷)

24. 地雷復  坤上震下 (☷☳)

 

#1 剝박과 復복은 도전괘로 서로 짝을 지었다.

 

 

 

 

晉 晝也 明夷 誅也.

晉은 낮이요, 明夷는 傷함이다.

 

晉 晝也 明夷 誅也. 진은 주야오 명이는 주야라.

1) 晉진은 晝낮이요 明夷명이는 誅베는 것이라. 誅주: 벨 주, 책망할 주

2) 뜻풀이: 晉진 ()은 '明出地上 명출지상'하니 밝음이 드러나는 낮의 상이고 (晉 晝진주), 明夷명이 ()는

'明入地中명입지중'하니 밝음이 상해서 사라지는 밤의 상이다 (明夷 誅명이주).

 

35. 火地晉  離上坤下 (☲☷)

36. 地火明夷  坤上離下 (☷☲)

 

#1 晉진과 明夷명이는 서괘전에서는 하경에 있는 괘로, 잡괘전의 상경에 섞인 12괘중 하나이다.

#2 晉진과 明夷명이는 도전괘로 서로 짝을 지었다.

 

[本義] 誅 傷也.

 

 

 

井 通而 困 相遇也.

井은 통함이요, 困은 서로 만남이다.

 

井 通而困 相遇也. 정은 통이곤은 상우야라.

1) 井정은 通통하고 困곤은 相遇서로 만나니라.

2) 뜻풀이: 井정 ()은 우물물 (상괘감)이 밖으로 나와 만물을 먹여 살리니 그 도가 통하는 것이고 (井通 정통), 困곤 ()은 강과 유가 만났으되 강이 유에 가려 곤궁해지는 상이다 (困 相遇곤상우).

 

48. 水風井  坎上巽下  (☵☳

47. 澤水困  兌上坎下  (☱☵)

 

#1 井정과 困곤은 서괘전에서는 하경에 있는 괘로, 잡괘전의 상경에 섞인 12괘중 하나이다.

#2 서괘전에서는 困곤이 井정보다 순서가 앞선다. 즉 24개의 섞임중의 하나다.

#3 井정과 困곤은 도전괘로 서로 짝을 지었다.

 

[本義] 剛柔 相遇而剛見揜也.
剛과 柔가 서로 만나는데 剛이 가리움을 당한 것이다.

揜 가릴 엄.

 

* 이상이 잡괘전을 64괘로 볼 때 상경에 해당하는 30괘이다. 즉 서괘전과 마찬가지로 건, 곤으로 시작해서 감, 리 (여기서는 진, 명이의 리와 정, 곤의 감)로 매듭을 지었다.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雜卦傳. 本義  (0) 2018.07.14
[스크랩] 雜卦傳 1.  (0) 2018.07.14
[스크랩] 雜卦傳 3  (0) 2018.07.14
[스크랩] 雜卦傳 終  (0) 2018.07.14
[스크랩] 周易의 ‘河圖․洛書’에 대한 철학적 이해  (0) 201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