來 歷
*올 래(人-8획, 7급)
*지낼 력(止-16획, 5급)
‘대머리는 우리 집안 내력인 것 같다’의 ‘내력’이 ‘부모나 조상으로부터 내려오는 유전적인 특성’을 이르기도 하는 까닭은 ‘來歷’이란 한자어의 속뜻을 알면 금방 이해가 잘 되기에...
來자는 보리의 뿌리와 줄기 그리고 이삭을 그린 것으로 ‘보리’(barley)가 본래 의미다. 그런데 이 글자가 ‘오다’(come)는 의미의 낱말과 음이 같아 ‘오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예가 잦아지자, 본뜻은 麥(보리 맥)자를 따로 만들어 나타냈다.
歷자는 ‘발자국 지’(止)가 의미요소이고, 厤(다스릴 력/역)은 발음요소다. ‘발자국’(a footprint)을 남기는 모든 행위, 즉 ‘지나다’(pass) ‘겪다’(undergo) ‘다니다’(go to and fro) ‘넘다’(go over) 등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來歷은 ‘지금까지 지내온[來] 경로나 경력(經歷)’이 속뜻이다.
한 살이라도 더 젊었을 때, 널리 배우고 넓은 세상을 두루 다녀 봐야한다. 옛말에 이르길, “널리 배운 다음에 잘 간추릴 수 있고, 두루 겪은 다음에 요체를 알 수 있다.”
(學博而後可約 학박이후가약, 事歷以後知要 사력이후지요 - 王廷相 왕정상).
【蛇足】
한글을 익힌 다음 한자도 배우는 것은, 숟가락을 쓸 줄 안 다음 젓가락도 익히는 것과 같다.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80] 比重(비중) (0) | 2020.11.30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79] 格調(격조) (0) | 2020.11.30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77] 看板(간판) (0) | 2020.11.30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76] 物望(물망) (0) | 2020.11.30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75] 最善(최선) (0) | 202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