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 婦
*낳을 산(生-11획, 5급)
*여자 부(女-11획, 4급)
‘애를 낳은 산부는 아이에게 젖을 물렸다’의 ‘산부’가 무슨 뜻인지는 ‘産婦’란 두 글자에 두 가지 힌트가 있기에...
産자는 ‘날 생’(生)이 의미 요소이고, 그 나머지는 彦(선비 언)자의 생략형으로 발음요소였다는 설이 있다. ‘낳다’(bear)가 본뜻이고, ‘생산’(production) ‘재물’(property)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婦자는 ‘부녀자’(a woman)를 나타내기 위해서 빗자루를 들고 청소를 하고 있는 여자의 모습을 본뜬 것이다. 아득한 옛날에 부녀자의 본업을 이로써 알 수 있겠다. 帚(빗자루 추)는 빗자루 모양을 본뜬 것이다. 후에 ‘아내’(a wife) ‘며느리’(a daughter-in-law)를 지칭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産婦(산:부)는 ‘아이를 낳은[産] 여자[婦]’를 이르며, ‘산:모’(産母)라고도 한다. 한 가정이 번창하고 자식들이 다 잘되려면 먼저 어떤 조건이 갖추어져야 할까요? 돈이 많아야 될까!? 아니다. 청나라 때 한 선비의 답은 이랬다.
“부부가 화목하여야 집안이 번창해진다.”
(夫婦和而後家道成 부부화이후가도성- 程允升 정윤승).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1] 萬福(만복) (0) | 2020.12.01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0] 的確(적확) (0) | 2020.12.01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88] 漁場(어장) (0) | 2020.12.01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87]無罪(무죄) (0) | 2020.12.01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86] 湖水(호수) (0) | 202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