菜根譚

後-030[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30.욕심이 많은 자는 만족하지 못한다

bindol 2018. 8. 21. 18:50
Welcome, friends! 반갑 습니다 - bindol -


채근담(菜根譚) 후집(後集) <전집 225, 후집 134>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030.욕심이 많은 자는 만족하지 못한다.




) --> 

-030.

) --> 

貪得者(탐득자)分金(분금)恨不得玉(한부득옥)하고

封公(봉공)怨不受侯(원불수후)하니

權豪自甘乞丐(권호자감걸개)하며,

知足者(지족자)黎羹(여갱)旨於膏粱(지어고량)하고

布袍(포포)煖於狐狢(난어호학)하니

編民(편민)不讓王公(불양왕공)이라.

) --> 

) --> 

욕심이 많은 사람은 금을 나눠 주어도 옥을 얻지 못함을 한탄하고

공작에 봉해도 제후로 봉함을 받지 못함을 원망하니

권세가 있으면서도 스스로 거지노릇을 달게 여기며,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명아주국도 고기보다 맛있게 여기고

베 도포도 털옷보다 따뜻하게 여기니

서민이면서도 왕공을 부러워하지 않는다.

) --> 

----------------------------------


) --> 


 

貪得者(탐득자) : 얻기를 탐하는 사람.

() : 공작(公爵)

() : 제후(諸侯)

權豪(권호) : 권세 있는 사람.

乞丐(걸개) : 거지. 는 빌 ’.

黎羹(여갱) : 명아주의 잎으로 만든 국. 곧 검소한 음식.()는 명아주, ()은 국.

() : 맛있다.

膏梁(고량) : 기름진 고기와 곡식. ()는 살진 고기.

布袍(포포) : 베 두루마기. 는 도포 ’.

狐狢(호학) : 여우와 담비 가죽으로 만든 옷. 은 오소리(담비) ‘

編民(편민) : 호적(戶籍)에 편입되어 있는 백성, 곧 일반 서민을 말한다.

不讓(불양) : 양보하지 않는다. 못하지 않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