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後-073.
) --> 물욕에 얽매이면 삶이 애달픈 것임을 깨닫게 되고 본성에 따라 유유자적하면 삶이 즐거운 것임을 깨닫게 된다. 삶이 애달픈 것을 알면 세속적인 욕망이 즉시 깨어지고 삶의 즐거움을 알면 성인의 경계에 저절로 이르게 되느니라. ) --> ---------------------------------------------- ) -->
○ 覇銷(패소) : 속박, 얽매임. 覇는 으뜸 ‘패’. 銷는 녹일 ‘소’. ○ 夷猶(이유) : 유유자적함. 태연자약하다. 夷는 오랑캐 ‘이’로 안온하다. 猶는 오히려 ‘유’로 태연한 모양. ○ 性眞(성진) : 본성. ○ 塵情(진정) : 세속적인 욕망. ○ 立破(입파) : 즉시 깨어짐 ○ 自臻(자진) : 저절로 이르다. 臻은 이를 ‘진’, 이르다, 도달하다. |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075[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75.시상(詩想)은 자연에서 일어난다 (0) | 2018.10.06 |
---|---|
後-074[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74.마음속에 물욕이 없으면 마음이 고요하고 평화롭다 (0) | 2018.10.06 |
後-072[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72.냉정한 마음으로 만사를 보면 부귀공명도 하찮은 것이다 (0) | 2018.10.03 |
後-071[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71.나귀를 타고서 나귀를 찾는다.<騎驢覓驢:기려멱려 (0) | 2018.10.01 |
後-070[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70.쓸데없는 욕심을 버리면 마음이 평화롭다 (0) | 2018.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