菜根譚

後-096[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96.은자(隱者)의 최상의 즐거움은 유유자적함이다

bindol 2018. 10. 30. 07:17


채근담(菜根譚) 후집(後集) <전집 225, 후집 134>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096.은자(隱者)의 최상의 즐거움은 유유자적함이다.




) --> 

-096.

) --> 

幽人淸事(유인청사)纔在自適(재재자적)이라.

()酒以不勸(주이불권)으로 爲歡(위환)하고

棋以不爭(기이부쟁)으로 爲勝(위승)하며

笛以無腔(적이무강)으로 爲適(위적)하고

琴以無絃(금이무현)으로 爲高(위고)하며

會以不期約(회이불기약)으로 爲眞率(위진솔)하고

客以不迎送(객이불영송)으로 爲坦夷(위탄이)하니

若一牽文泥跡(약일견문니적)하면

便落塵世苦海矣(변락진세고해의).

) --> 

) --> 

은자의 맑은 흥치는 모두 유유자적함에 있다

그러므로 술은 권하지 않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고

바둑은 승패를 다투지 않는 것으로 이김을 삼으며

피리는 구멍이 없는 것으로 적당함으로 하고

거문고는 줄이 없는 것으로 고상하다 하며

만나는 것은 기약하지 않는 것으로 참되다 하고

손님은 마중이나 배웅이 없는 것으로 스스럼이 없다 하니

만일 일단 겉치레에 사로잡히고 형식에 얽매인다면

곧 속세의 고해에 떨어지고 말리라.

) --> 

--------------------------------------

  ) --> 


 

幽人(유인) : 은둔하여 살고 있는 사람. 隱者(은자).

淸事(청사) : 맑은 흥치(興致:흥과 운치).

纔在自適(재재자적) : 모두 유유자적함에 있다. 명각본(明刻本)에는 總在自適(총재자적)으로 되어 있다. 유유자적은 속세에 속박이 없이 마음 편히 지냄을 말한다.

無腔(무강) : 구멍이 없는 피리. 은 속빌 ’.

無絃(무현) : 줄이 없는 거문고. 무현금(無絃琴).

坦夷(탄이) : 아무런 시름이 없이 마음이 진정되어 평탄함. 은 평탄할 ’. ()는 평탄하다는 뜻.

牽文泥跡(견문니적) : 글월과 과거의 흔적에 이끌림. 泥迹(니적)은 과거의 흔적. , 겉치레에 이끌리고 형식에 얽매인다는 뜻.

塵世(진세) : 티끌 많은 세상. 속세.

苦海(고해) : 괴로운 인간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