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後-096.
) --> 은자의 맑은 흥치는 모두 유유자적함에 있다 그러므로 술은 권하지 않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고 바둑은 승패를 다투지 않는 것으로 이김을 삼으며 피리는 구멍이 없는 것으로 적당함으로 하고 거문고는 줄이 없는 것으로 고상하다 하며 만나는 것은 기약하지 않는 것으로 참되다 하고 손님은 마중이나 배웅이 없는 것으로 스스럼이 없다 하니 만일 일단 겉치레에 사로잡히고 형식에 얽매인다면 곧 속세의 고해에 떨어지고 말리라. ) --> -------------------------------------- ) -->
○ 幽人(유인) : 은둔하여 살고 있는 사람. 隱者(은자). ○ 淸事(청사) : 맑은 흥치(興致:흥과 운치). ○ 纔在自適(재재자적) : 모두 유유자적함에 있다. 명각본(明刻本)에는 總在自適(총재자적)으로 되어 있다. 유유자적은 속세에 속박이 없이 마음 편히 지냄을 말한다. ○ 無腔(무강) : 구멍이 없는 피리. 腔은 속빌 ‘강’. ○ 無絃(무현) : 줄이 없는 거문고. 무현금(無絃琴). ○ 坦夷(탄이) : 아무런 시름이 없이 마음이 진정되어 평탄함. 坦은 평탄할 ‘탄’. 夷(이)는 평탄하다는 뜻. ○ 牽文泥跡(견문니적) : 글월과 과거의 흔적에 이끌림. 泥迹(니적)은 과거의 흔적. 즉, 겉치레에 이끌리고 형식에 얽매인다는 뜻. ○ 塵世(진세) : 티끌 많은 세상. 속세. ○ 苦海(고해) : 괴로운 인간세계. |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098[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98.살고자 하는 욕심이 죽음의 근본이다 (0) | 2018.10.30 |
---|---|
後-097[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97.생사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온갖 생각이 싸늘히 식는다 (0) | 2018.10.30 |
後-095[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95.마음을 비우면 처한 환경도 비어진다 (0) | 2018.10.30 |
後-094[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94.외물을 부리는 사람은 실패해도 근심하지 않는다 (0) | 2018.10.25 |
後-093[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93.흠잡을 데 없는 기교는 서투르게 보인다.<大巧若拙> (0) | 2018.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