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376

천자문千字文 - (094) 흔주루견欣奏累遣 척사환초慼謝歡招

▶ 현토음독懸吐音讀 흔주루견欣奏累遣하고 척사환초慼謝歡招니라 ▶ 훈음訓音 欣 기쁠 흔 / 奏 아뢸 주 / 累 여러 루 / 遣 보낼 견 慼 근심할 척 / 謝 사례할 사 / 歡 기쁠 환 / 招 부를 초 ▶ 풀이 기쁨(欣)이 모여들며(奏) 더러움(累)이 떠나가고(遣) 근심(慼)이 물러나며(謝) 즐거움(歡)이 나타난다(招). ▶ 자원字源 欣 : 도끼 근斤(다듬거나 끊다)과 하품 흠欠(입을 크게 벌린 모습)이 결합했다. 입을 벌려 크게 웃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奏 : 받들 봉奉(양손으로 약초를 받쳐 든 모습)과 어릴 요夭(고개를 숙인 모습)이 결합했다. 신하가 고개를 숙이고 보고한다는 데서 '아뢰다'를 뜻하며, 기녀가 음악을 바친다는 데서 '(음악을) 바치다'를 뜻한다. 累 : 밭 전田(밭갈피 뢰畾의 생략형, ..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095) 거하적력渠荷的歷 원망추조園莽抽條

▶ 현토음독懸吐音讀 거하적력渠荷的歷하고 원망추조園莽抽條니라 ▶ 훈음訓音 渠 개천 거 / 荷 멜 하 / 的 과녁 적 / 歷 지날 력 園 동산 원 / 莽 우거질 망 / 抽 뽑을 추 / 條 가지 조 ▶ 풀이 개천(渠)의 연꽃(荷)은 또렷하고(的) 분명하며(歷) 동산(園)의 풀(莽)은 가지(條)가 뻗는다(抽). ▶ 자원字源 渠 : 물 수氵, 법도 구榘(모날 구矩와 나무 목木의 결합 → 네모를 그리는 자)의 생략형이 결합했다. 물을 통하게 한 길이라는 데서 '개천'을 뜻한다. 荷 : 풀 초艹(볏짚)와 어찌 하何(어깨에 짐을 멘 사람)가 결합했다. 볏짚을 메고 나르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메다'를 뜻한다. 또한 어찌 하何를 물 하河의 변형자로 보아 물 위에 뜬 연꽃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연꽃'을 뜻하기도 한다. ..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096) 비파만취枇杷晩翠 오동조조梧桐早凋

▶ 훈음訓音 枇 비파나무 비 / 杷 비파나무 파 / 晩 늦을 만 / 翠 푸를 취 梧 오동나무 오 / 桐 오동나무 동 / 早 이를 조 / 凋 시들 조 ▶ 풀이 비파나무(枇杷)는 늦도록(晩) 푸르고(翠) 오동나무(梧桐)는 일찍(早) 시든다(凋). ▶ 자원字源 枇 : 나무 목木과 견줄 비比가 결합했다. 비파열매가 비파琵琶(오뚜기 모양)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데서 '비파나무'를 뜻한다. 비파나무의 목재는 치밀하고 끈기가 있어 목도, 빗, 도장 등의 재료로 쓰인다는 데서 '참빗'의 뜻으로도 쓰인다. 杷 : 나무 목木과 꼬리 파巴가 결합했다. 비파열매가 비파琵琶(오뚜기 모양)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데서 '비파나무'를 뜻한다. 晩 : 해 일日과 면할 면免(면→만)이 결합했다. 해가 없어지는 때라는 데서 '늦다'를 뜻한다..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097) 진근위예陳根委翳 락엽표요落葉飄颻

▶ 훈음訓音 陳 베풀 진 / 根 뿌리 근 / 委 맡길 위 / 翳 깃일산 예 落 떨어질 락 / 葉 잎 엽 / 飄 나부낄 표 / 颻 불어오르는바람 요 ▶ 풀이 묵은(陳) 뿌리(根)는 시들어(委) 마르고(翳) 락엽(落葉)은 불어오르는 바람(颻)에 나부낀다(飄). ▶ 자원字源 陳 : 언덕 부阝(땅바닥)와 동녘 동東(끈으로 사방을 동여맨 보따리)이 결합했다. 바닥에 짐을 풀어 늘여놓는다는 데서 ‘베풀다’, '묵다' 등을 뜻한다. 根 : 나무 목木과 그칠 간艮(시선이 아래로 향하다, 간→근)이 결합했다. 시선이 나무뿌리를 향하고 있다는 데서 ‘뿌리’를 뜻한다. 委 : 벼 화禾(벼가 고개를 숙인 모습)와 계집 녀女(사람이 무릎 꿇고 앉은 모습)가 결합했다. 곡창 관리는 여자들이 맡는다는 데에서 ‘맡기다’를 뜻한다. ..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098) 유곤독운遊鯤獨運 릉마강소凌摩絳霄

▶ 훈음訓音 遊 놀 유 / 鯤 곤이 곤 / 獨 홀로 독 / 運 옮길 운 凌 업신여길 릉 / 摩 문지를 마 / 絳 진홍 강 / 霄 하늘 소 ▶ 풀이 노니는(遊) 곤어(鯤)는 홀로(獨) 옮겨다니다가(運) 솟구쳐(凌) 진홍색(絳) 하늘(霄)에 가까이한다(摩). ▶ 자원字源 遊 : 쉬엄쉬엄갈 착辶과 깃발 유斿(깃발이 나부끼는 모습)가 결합했다. 거닐며 노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놀다'를 뜻한다. 鯤 : 물고기 어魚와 맏 곤昆(자식)이 결합했다. 물고기의 새끼라는 데서 ‘곤이’를 뜻한다. 위 구절에서는 장자의 소요유를 인용하여 곤어라는 전설 속의 커다란 물고기를 표현했다. 獨 : 개 견犭과 애벌레 촉蜀(큰 닭, 촉→독)이 결합했다. 개와 닭을 함께 두지 않고 격리시켜 기른다는 데서 ‘홀로’를 뜻한다. 運 : 쉬엄..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099) 탐독완시耽讀翫市 우목낭상寓目囊箱

▶ 현토음독懸吐音讀 탐독완시耽讀翫市하니 우목낭상寓目囊箱이라 ▶ 훈음訓音 耽 즐길 탐 / 讀 읽을 독 / 翫 희롱할 완 / 市 저자 시 寓 부칠 우 / 目 눈 목 / 囊 주머니 낭 / 箱 상자 상 ▶ 풀이 글 읽기(讀)를 즐겨(耽) 저잣거리(市)에서 (책을) 살펴보니(翫) 눈길(目)을 보내면(寓) (책을) 상자(箱)에 담듯(囊) 했다. ▶ 자원字源 耽 : 귀 이耳와 망설일 유冘(잠길 침沈의 생략형, 침→탐)가 결합했다. 큰 귀가 늘어져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큰 귀는 총명함, 길상의 상징이라는 데서 ‘즐기다’, ‘열중하다’ 등을 뜻한다. 讀 : 말씀 언言과 팔 매賣(이을 속續의 생략형, 속→독)가 결합했다. 말을 잇는다는 데서 '읽다'를 뜻한다. 翫 : 익힐 습習과 으뜸 원元(원→완)이 결합했다. 익..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0) 이유유외易輶攸畏 촉이원장屬耳垣牆

▶ 훈음訓音 易 쉬울 이, 바꿀 역 / 輶 가벼울 유 / 攸 바 유 / 畏 두려워할 외 屬 이을 촉, 무리 속 / 耳 귀 이 / 垣 담 원 / 牆 담 장 ▶ 풀이 (말을) 쉽고(易) 가벼이(輶) 하는 바(攸)를 두려워하니(畏) 귀(耳)가 원장(垣牆)에 닿아 있다(屬). ▶ 자원字源 易 : 날 일日과 말 물勿이 결합했다. 그릇을 기울여 무언가를 쏟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릇에 담겨있는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담는다는 데서 ‘바꾸다(역)’를 뜻한다 또한 무언가를 버리는 것은 소홀히 하는 것이라는 데서 ‘쉽다(이)’를 뜻한다. 위 구절에서는 후자의 뜻으로 쓰였다. 輶 : 수레 거車와 우두머리 추酋가 결합했다. 우두머리가 타는 잘 만들어진 수레라는 데서 ‘가볍다’를 뜻한다. 攸 : 사람 인亻, 뚫을 곤丨(..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1) 구선찬반具膳餐飯 적구충장適口充腸

▶ 현토음독懸吐音讀 구선찬반具膳餐飯하니 적구충장適口充腸이라 ▶ 훈음訓音 具 갖출 구 / 膳 선물 선 / 餐 먹을 찬 / 飯 밥 반 適 맞을 적 / 口 입 구 / 充 채울 충 / 腸 창자 장 ▶ 풀이 반찬(膳)을 갖추고(具) 밥(飯)을 먹으니(餐) 입에(口) 맞게(適) 배(腸)를 채운다(充). ▶ 자원字源 具 : 양손으로 솥을 받쳐 들고 제사 준비를 마친 모습을 나타낸 데서 ‘갖추다’를 뜻한다. 膳 : 달 월月과 착할 선善이 결합했다. 좋은 고기로 만들어진 반찬이라는 데서 ‘반찬’을 뜻한다. 좋은 반찬은 선물하는 것이라는 데서 ‘선물’을 뜻하기도 한다. 餐 : 뚫다가남을 잔?(고기를 손으로 바르는 모습, 잔→찬)과 밥 식食(식기와 뚜껑)이 결합했다. 밥과 반찬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먹다’를 뜻한다. 飯 ..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2) 포어팽재飽飫烹宰 기염조강飢厭糟糠

▶ 현토음독懸吐音讀 포어팽재飽飫烹宰하고 기염조강飢厭糟糠이라 ▶ 훈음訓音 飽 배부를 포 / 飫 물릴 어 / 烹 삶을 팽 / 宰 재상 재 飢 주릴 기 / 厭 싫어할 염 / 糟 지게미 조 / 糠 겨 강 ▶ 풀이 배부르면(飽) 삶은(烹) 고기요리(宰)조차 물리고(飫) 굶주리면(飢) 지게미(糟)와 겨(糠)도 배불리 먹는다(厭). ▶ 자원字源 飽 : 밥 식食, 쌀 포包(감싸다)가 결합했다. 밥을 먹고 배가 부른 모습을 나타낸 데서 ‘배부르다’를 뜻한다. 飫 : 밥 식食, 일찍죽을 요夭(사람이 고개를 꺾은 모습, 요→어)가 결합했다. 밥이 물려 고개를 꺾은 모습을 나타낸 데서 ‘물리다’를 뜻한다. 烹 : 형통할 형亨(솥, 형→팽), 불 화灬가 결합했다. 솥에 불을 가한다는 데서 ‘삶다’를 뜻한다. 宰 : 집 면宀, ..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3) 친척고구親戚故舊 로소이량老少異糧

▶ 현토음독懸吐音讀 친척고구親戚故舊는 로소이량老少異糧이라 ▶ 훈음訓音 親 친할 친 / 戚 친척 척 / 故 연고 고 / 舊 예 구 老 늙을 로 / 少 적을 소 / 異 다를 이 / 糧 양식 량 ▶ 풀이 친족(親)과 외척(戚)과 오랜(故) 친구(舊)는 늙고(老) 젊음(少)에 따라 식사(糧)를 달리한다(異). ▶ 자원字源 親 : 친할 친亲(나무에서 돋아나는 새싹), 볼 견見이 결합했다. 나무에서 돋아나는 새싹을 가까이서 본다는 데서 '친하다'를 뜻한다. 戚 : 천간 무戊(반달 모양의 날이 달린 창), 아저씨 숙尗(콩 줄기 → 콩이 여러 알 들어있는 콩깍지 → 한 가족)이 결합했다. 씨족을 상징하는 무기를 나타낸 데서 '친척'을 뜻한다. 故 : 예 고古(열 세대에 걸쳐 구전되다), 칠 복攵(들추어내다)이 결합했다..

千字文 工夫 2022.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