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토음독懸吐音讀 흔주루견欣奏累遣하고 척사환초慼謝歡招니라 ▶ 훈음訓音 欣 기쁠 흔 / 奏 아뢸 주 / 累 여러 루 / 遣 보낼 견 慼 근심할 척 / 謝 사례할 사 / 歡 기쁠 환 / 招 부를 초 ▶ 풀이 기쁨(欣)이 모여들며(奏) 더러움(累)이 떠나가고(遣) 근심(慼)이 물러나며(謝) 즐거움(歡)이 나타난다(招). ▶ 자원字源 欣 : 도끼 근斤(다듬거나 끊다)과 하품 흠欠(입을 크게 벌린 모습)이 결합했다. 입을 벌려 크게 웃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奏 : 받들 봉奉(양손으로 약초를 받쳐 든 모습)과 어릴 요夭(고개를 숙인 모습)이 결합했다. 신하가 고개를 숙이고 보고한다는 데서 '아뢰다'를 뜻하며, 기녀가 음악을 바친다는 데서 '(음악을) 바치다'를 뜻한다. 累 : 밭 전田(밭갈피 뢰畾의 생략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