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376

천자문千字文 - (104) 첩어적방妾御績紡 시건유방侍巾帷房

▶ 훈음訓音 妾 첩 첩 / 御 거느릴 어 / 績 길쌈할 적 / 紡 길쌈 방 侍 모실 시 / 巾 수건 건 / 帷 휘장 유 / 房 방 방 ▶ 풀이 안사람(妾御)은 길쌈하고(績紡) 휘장 친(帷) 방(房)에서 수건(巾)으로 모신다(侍). ▶ 자원字源 妾 : 설 립立(매울 신辛의 생략형, 노예의 몸에 새긴 문신), 계집 녀女가 결합했다. 여종이 첩이 되기도 했다는 데서 '첩'을 뜻한다. 御 : 조금걸을 척彳, 부릴 사卸(사람이 마차에 앉아 채찍질하는 모습)가 결합했다. 마차를 몰아 길을 간다는 데서 '거느리다', '통솔하다' 등을 뜻한다. 績 : 가는실 멱糸, 꾸짖을 책責(빌린 돈을 갚으라고 채찍힐하는 모습, 책→적)이 결합했다. 실을 뽑아 옷감을 만드는 일은 중노동이므로 책임을 지워야 한다는 데서 '길쌈하다'를..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5) 환선원결紈扇圓潔 은촉휘황銀燭煒煌

▶ 훈음訓音 紈 흰비단 환 / 扇 부채 선 / 圓 둥글 원 / 潔 깨끗할 결 銀 은 은 / 燭 촛불 촉 / 煒 빨갈 위, 빛날 휘 / 煌 빛날 황 ▶ 풀이 흰 비단(紈) 부채(扇)는 둥글고(圓) 깨끗하며(潔) 은촛대(銀)의 촛불(燭)은 휘황하다(煒煌). ▶ 자원字源 紈 : 가는실 멱糸, 둥글 환丸이 결합했다. 실타래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흰비단'을 뜻한다. 扇 : 지게 호戶, 깃 우羽가 결합했다. 깃으로 문짝처럼 넓게 펼쳐 만든 부채라는 데서 '부채'를 뜻한다. 圓 : 에워쌀 위囗, 인원 원員(솥 정鼎 위에 동그라미가 그려진 문자의 변형 → 둥글다)이 결합했다. 둥근 솥을 둥글게 에워싸 그 뜻을 강조한 데서 '둥글다'를 뜻한다. 潔 : 물 수氵, 헤아릴 혈絜(일정한 길이의 실을 한 묶음으로 자르기 위해..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6) 주면석매晝眠夕寐 람순상상籃筍象牀

▶ 현토음독懸吐音讀 주면석매晝眠夕寐하니 람순상상籃筍象牀이라 ▶ 훈음訓音 晝 낮 주 / 眠 잘 면 / 夕 저녁 석 / 寐 잘 매 籃 대바구니 람 / 筍 죽순 순 / 象 코끼리 상 / 牀 평상 상 ▶ 풀이 낮(晝)에 졸고(眠) 저녁(夕)에 자니(寐) 대나무(筍)로 엮은 가마(籃)와 상아(象) 장식의 평상(牀)이다. ▶ 자원字源 晝 : 붓 율聿, 아침 단旦(해가 떠있는 모습)이 결합했다. 글공부하기 좋은 시간대라는 데서 ‘낮’을 뜻한다. 글 서書와 비슷하므로 주의한다. 眠 : 눈 목目, 백성 민民(어리석다 → 어둡다, 민→면)이 결합했다. 눈을 감고 잔다는 데서 ‘자다’를 뜻한다. 夕 : 초승달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저녁’을 뜻한다. 寐 : 집 면宀, 나뭇조각 장爿(평상), 아닐 미未(아직, 미→매)가 결합..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7) 현가주연絃歌酒讌 접배거상接杯擧觴

▶ 훈음訓音 絃 줄 현 / 歌 노래 가 / 酒 술 주 / 讌 잔치할 연 接 이을 접 / 杯 잔 배 / 擧 들 거 / 觴 잔 상 ▶ 풀이 현악기를 타고(絃) 노래하며(歌) 술(酒)로 잔치하고(讌) 잔(杯)을 주고받으며(接) 잔(觴)을 든다(擧). ▶ 자원字源 絃 : 가는실 멱糸, 검을 현玄(활 시위)이 결합했다. 현악기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현악기'를 뜻한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현악기 현弦을 쓴다. 歌 : 노래 가哥(쟁기질을 하며 노래하다), 하품 흠欠(입을 크게 벌리다)이 결합했다. 입을 크게 벌려 노래부른다는 데서 '노래하다'를 뜻한다. 酒 : 물 수氵, 닭 유酉(술병)가 결합했다. 술병에 담긴 술이라는 데서 '술'을 뜻한다. 讌 : 말씀 언言, 제비 연燕이 결합했다. 봄이 제비를 불러들이듯이 소문을..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8) 교수돈족矯手頓足 열예차강悅豫且康

▶ 훈음訓音 矯 바로잡을 교 / 手 손 수 / 頓 조아릴 돈 / 足 발 족 悅 기쁠 열 / 豫 미리 예 / 且 또 차 / 康 편안 강 ▶ 풀이 손(手)을 들고(矯) 발(足)을 구르니(頓) 기쁘고(悅) 즐거우며(豫) 또(且) 편안하다(康). ▶ 자원字源 矯 : 화살 시矢, 높을 교喬(뛰어나다)가 결합했다. 휜 화살을 곧게 만든다는 데서 '바로잡다'를 뜻한다. 手 : 사람의 손을 표현한 데서 '손'을 뜻한다. 頓 : 진칠 둔屯(둔→돈), 머리 혈頁이 결합했다.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한다는 데서 '조아리다'를 뜻한다. 足 : 무릎부터 발끝까지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발'을 뜻한다. 발은 몸을 지탱하는 기초라는 데서 '충족하다', '족하다'의 뜻으로 파생됐다. 悅 : 마음 심忄, 바꿀 태兌(입을 벌리고 크게 웃..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09) 적후사속嫡後嗣續 제사증상祭祀蒸嘗

▶ 훈음訓音 嫡 정실 적 / 後 뒤 후 / 嗣 이을 사 / 續 이을 속 祭 제사 제 / 祀 제사 사 / 蒸 찔 증 / 嘗 맛볼 상 ▶ 풀이 적자(嫡)는 뒤(後)를 사속하여(嗣續) 제사(祭祀)는 증제(蒸)과 상제(嘗)을 지낸다. ▶ 자원字源 嫡 : 계집 녀女, 밑동 적啇(임금 제帝와 입 구口의 합자, 공동체의 근본이 되는 임금이 제단에서 말하는 모습)이 결합했다. 본 아내라는 데서 '정실'을 뜻한다. 後 : 조금걸을 척彳, 작을 요幺(포승줄), 뒤쳐져올 치夂가 결합했다. 발목에 끈이 묶인 죄수가 뒤쳐져 걷는다는 데서 '뒤'를 뜻한다. 嗣 : 입 구口(읽다), 책 책冊(문서), 맡을 사司가 결합했다. 문서를 읽고 맡은 일을 인수한다는 데서 '잇다'를 뜻한다. 續 : 가는실 멱糸(이어지다), 팔 매賣가 결합했..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10) 계상재배稽顙再拜 송구공황悚懼恐惶

▶ 훈음訓音 稽 상고할 계 / 顙 이마 상 / 再 두 재 / 拜 절 배 悚 두려울 송 / 懼 두려워할 구 / 恐 두려울 공 / 惶 두려울 황 ▶ 풀이 이마(顙)를 조아려(稽) 두 번(再) 절하니(拜) 송구하고(悚懼) 공황하다(恐惶). ▶ 자원字源 稽 : 벼 화禾, 더욱 우尤(손에 물건을 쥔 모습), 뜻 지旨(음식을 먹는 모습, 지→계)가 결합했다. 벼를 손에 쥐고 놓으며 헤아리거나 맛을 본다는 데서 '상고하다'를 뜻한다. 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고개를 숙인다는 데서 '조아리다'를 뜻하기도 한다. 顙 : 뽕나무 상桑, 머리 혈頁이 결합했다. 이마는 머리에서 뽕잎처럼 넓은 부위라는 데서 '이마'를 뜻한다. 再 : 물고기가 반복적으로 수면에 올라오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거듭', '두 번' 등을 뜻한다. ..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11) 전첩간요牋牒簡要 고답심상顧答審詳

▶ 훈음訓音 牋 문서 전 / 牒 편지 첩 / 簡 대쪽 간 / 要 요긴할 요 顧 돌아볼 고 / 答 대답 답 / 審 살필 심 / 詳 자세할 상 ▶ 풀이 문서(牋)와 편지(牒)는 간결하며(簡) 긴요하고(要) 안부하며(顧) 답함(答)은 자세히(詳) 살핀다(審). ▶ 자원字源 牋 : 조각 편片, 나머지 잔戔(쌓다)이 결합했다. 나뭇 조각 상소문이 쌓여있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문서'를 뜻한다. 牒 : 조각 편片, 잎 엽枼(엽→첩)이 결합했다. 나뭇 조각을 나뭇잎처럼 얇게 만들어 쓴 편지라는 데서 '편지'를 뜻한다. 簡 : 대 죽竹, 사이 간間이 결합했다. 대나무 줄기를 쪼갠 모습을 나타낸 데서 '대쪽'을 뜻한다. 要 : 덮을 아襾, 계집 녀女가 결합다. 여자가 양손으로 허리띠를 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허리띠..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12) 해구상욕骸垢想浴 집열원량執熱願涼

▶ 현토음독懸吐音讀 해구상욕骸垢想浴하고 집열원량執熱願涼이라 ▶ 훈음訓音 骸 뼈 해 / 垢 때 구 / 想 생각 상 / 浴 목욕할 욕 執 잡을 집 / 熱 더울 열 / 願 원할 원 / 涼 서늘할 량 ▶ 풀이 몸(骸)이 더러우면(垢) 목욕(浴)을 생각하고(想) 뜨거운 것(熱)을 잡으면(執) 시원하기(涼)를 바란다(願). ▶ 자원字源 骸 : 뼈 골骨, 돼지 해亥(살을 발라내다)가 결합했다. 뼈만 남은 앙상항 모습을 나타낸 데서 '뼈', '몸뚱이' 등을 뜻한다. 垢 : 흙 토土, 뒤 후后(딸리다→묻다, 후→구)가 결합했다. 흙이 묻었다는 데서 '때', '더럽다' 등을 뜻한다. 想 : 서로 상相(자세히 보다), 마음 심心이 결합했다. 자신의 내면을 자세히 살핀다는 데서 '생각하다'를 뜻한다. 浴 : 물 수氵, 골 곡..

千字文 工夫 2022.05.03

천자문千字文 - (113) 려라독특驢騾犢特 해약초양駭躍超驤

▶ 현토음독懸吐音讀 려라독특驢騾犢特이 해약초양駭躍超驤이라 ▶ 훈음訓音 驢 당나귀 려 / 騾 노새 라 / 犢 송아지 독 / 特 특별할 특 駭 놀랄 해 / 躍 뛸 약 / 超 뛰어넘을 초 / 驤 머리 들 양 ▶ 풀이 나귀(驢)와 노새(騾)와 송아지(犢)와 소(特)가 놀라서(駭) 뛰고(躍) 뛰어오르며(超) 달린다(驤). ▶ 자원字源 驢 : 말 마馬, 성씨 로盧(화로→검다, 로→려)가 결합했다. 말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검은 빛을 띤다는 데서 ‘당나귀’를 뜻한다. 騾 : 말 마馬, 여러 루累(중첩되다, 루→라)가 결합했다. 수나귀와 암말의 교배로 나왔다는 데서 ‘노새’를 뜻한다. 犢 : 소 우牛, 팔 매賣(나가다, 매→독)이 결합했다. 어미 소의 몸에서 나왔다는 데서 ‘송아지’를 뜻한다. 特 : 소 우牛, 절 사寺..

千字文 工夫 2022.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