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2.
) --> 은혜를 베푸는 사람이 안으로 자신에게 나타내지 않고 밖으로 남에게도 나타내지 않으면 곧 한 말의 곡식일지라도 만 섬의 은혜와 같은 것이다. 남에게 이익을 베푸는 사람이 자기가 베푼 은혜를 계산하고 남에게 보답을 강요한다면 비록 많은 돈 일지라도 한 푼의 공도 이루기 어려울 것이니라. ) --> -------------------------------------- ) --> ○ 見己(현기) : 자신에게 나타내다. 見은 뵈올 ‘현’으로 나타내다는 뜻. ○ 斗粟(두속) : 한 말의 곡식. 粟은 조 ‘속’으로 식량(곡식)의 뜻. ○ 可當(가당) : 대체로 합당함. 정도가 사실과 비슷함. ○ 萬鍾(만종) : 많은 곡식. 鍾(종)은 옛날 부피의 단위. ○ 百鎰(백일) : 많은 돈. 鎰(일)은 중량의 단위로 스물넉 냥에 해당한다. ○ 一文(일문) : 한 푼. 文은 돈을 세는 단위. ) --> --------------------------------- ) --> [明心寶鑑(명심보감) 7.存心篇(존심편)] 06.은혜를 베풀었다면 그 보답을 바라지 말라. ) --> 施恩(시은)이어든 勿求報(물구보)하고 與人(여인)이어든 勿追悔(물추회)하라 은혜를 베풀었다면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후회하지 말라. |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54[채근담(菜根譚)] 前集 54.마음이 깨끗해야 올바르게 배울 수 있다 (0) | 2018.06.07 |
---|---|
[스크랩] 53[채근담(菜根譚)] 前集 53.남과 견주어서 나를 다스려 나가야 한다 (0) | 2018.06.07 |
[스크랩] 51[채근담(菜根譚)] 前集 51.은혜는 기억하되 원한은 잊어라 (0) | 2018.06.07 |
[스크랩] 50[채근담(菜根譚)] 前集 50.세상의 흐름에 맞추어 처세하라 (0) | 2018.06.07 |
[스크랩] 49[채근담(菜根譚)] 前集 49.일이 적은 것보다 더 큰 복은 없다 (0) | 201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