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전집 225장, 후집 134장>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136.공과 과실은 철저히 구별하라. |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AA5505ADFD21F31)
136.
) -->
功過(공과)는 不容少混(불용소혼)이니
混則人懷惰墮之心(혼즉인회타타지심)하고
恩仇(은구)는 不可太明(불가태명)이니
明則人起携貳之志(명즉인기휴이지지)니라。
) --> |
) -->
공과 과실은 조금도 혼동하지 말아야 하니,
이를 혼동하면 사람들은 게으른 마음을 품게 될 것이다.
은혜와 원수는 지나치게 밝혀서는 안 되니,
밝히면 사람들이 떠나갈 생각을 가지게 될 것이다.
) -->
----------------------------------
) -->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CC7445ADFD20E01)
○ 惰墮之心(타타지심) : 게으른 마음. 惰는 게으를 ‘타’. 墮는 떨어질 ‘타’로 ‘게으르다’는 뜻.
○ 恩仇(은구) : 은혜와 원수. 仇는 원수 ‘구’.
○ 太明(태명) : 지나치게 밝음. 大明으로 되어 있는 판본도 있다.
○ 携貳(휴이) : 사이가 나쁨. 서로 다른 마음을 가짐. 貳는 두 마음. 의심하다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