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전집 225장, 후집 134장>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178.온화함으로 대하면 비방이나 원망을 사는 일이 없다. |
![](https://t1.daumcdn.net/cfile/blog/99809F405B15982F1C)
) -->
178.
) -->
標節義者(표절의자)는 必以節義受謗(필이절의수방)하고
榜道學者(방도학자)는 常因道學招尤(상인도학초우)라。
故(고)로 君子(군자)는
不近惡事(불근악사)하고 亦不立善名(역불립선명)하니
只渾然和氣(지혼연화기)가 纔是居身之珍(제시거신지진)이라。
) --> |
) -->
절의를 내세우는 사람은 반드시 절의 때문에 비난을 받고,
도덕과 학문을 내세우는 사람은
언제나 도덕과 학문으로 인해 원망을 불러들인다.
그러므로 군자는
나쁜 일에 가까이하지도 않지만 또한 좋은 평판을 내세우지도 않으니,
다만 원만한 온화함이야말로 몸을 보전하는 보배이리라.
) -->
------------------------------------
) -->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5A43E5B15983E1C)
○ 標節義者(표절의자) : 절개와 의리를 내세우는 사람. 節義(절의)는 절개와 의리. 標(표)는 나타내다.
○ 謗(방) : 비방하다.
○ 榜道學者(방도학자) : 도덕과 학문을 내세우는 사람. 榜(방)은 알리다.
○ 招尤(초우) : 원망을 초래한다. 尤(더욱 우)는 허물. 원망.
○ 善名(선명) : 좋은 평판. 名(명)은 평판, 소문
○ 渾然(혼연) : 원만함. 딴 것이 조금도 섞이지 않고 고른 모양
○ 和氣(화기) : 온화한 기색. 화목한 분위기.
○ 纔是(제시) : 이것이야 말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