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文 工夫

漢文理解의 基本 : 講議 2

bindol 2020. 6. 21. 11:17

◉ 與의 쓰임 ; ~와 더불어

 

• 獨卿子敬孤同耳 -- 孤 여기서는 ‘나’를 뜻하는 代詞

~만/ 경과 자경만이 나와 더불어 의견이 같다.

 

7. 連詞

 

A與B (連詞) 나와 그는 서로 사랑한다.

與A (介詞) 나는 그와 더불어 사랑을 나누었다.

 

① 諸說 連詞 ; 夫 누점제시 夫이하의 것을 하나의 意味 短絡으로 묶어줌

 

以A□B A로 B를 ~하다

• 夫疲病之卒御孤疑之衆數雖多甚未足畏也

以개사 手段

疲兵之卒로써 외롭고 의심 많은 百姓을 다스린다면 비록 衆數가 많다 해도

그다지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② 竝列連詞

 

☞ 單語와 單語의 連結

 

ⅰ. 與 及 ---A and B

• 巫嫗弟子是女子也不能白事 嫗-할미 구

무당할미와 제자들은 여자라서 그 일을 아뢸 수 없었다.아뢸 백,

 

ⅱ. 且--- 또차, 또한 차, 구차할 차

• 君子有酒旨多 旨 맛있을 지,

군자에게 술이 있었는데 맛도 좋을 뿐 아니라 많다.

且a 且 b --- a 하면서 b 한다. 同時動作

 

• 士死者過半而所殺傷匈奴亦萬餘人

죽은 병사가 반이 넘고 살상한 흉노 또한 만여명인데 후퇴하면서 싸웠다.

 

☞ 句와 句 連結; 而

 

ⅰ 順接 , 逆接

• 美有勇力 아름다우면서 힘과 용기가 있다. • 美無子 아름답지만 자식이 없다.

 

ⅱ. 敍述語와 敍述語 連結

• 楚人爲小門於大門之側延晏子 延 맞이할 연, 끌어들일 연

초나라사람들이 대문 옆에 소문을 만들어 晏子를 맞이했다.

 

ⅲ. 副詞語와 敍述語 連結

• 一日行千里 하루에 십리를 간다.

 

ⅳ. 主語와 敍述語 連結

• 斯人也而有斯疾也 앞也- 어조에 변화를 줌, 뒤也- 안타까운 느낌

이런 병에 걸리다니

 

③ 選擇 連詞

 

☞ 平敍文의 選擇 連詞 ; 或A 或B 또는 A 或 B

• 其神或歲不止或歲數來

그 신은 1년에 한 번도 오지 않거나 1년에 여러 번 오기도 한다.

 

☞ 疑問文의 選擇 連詞 ; 抑 --- A 抑 B

·• 皇帝人耶非耶 황제는 사람이냐 혹은 아니냐?

 

☞ 比較의 選擇 連詞 ; 與其 A 孰若 B

A 보다는 B 가 더 낫다

 

與其殺是童孰若賣之 이 아이를 죽이는 것보다는 파는 게 낫지 않을가

與其賣而分孰若吾得而專焉 팔아서 나누는 것보다 나 혼자 차지하는 게 낫지 않을가

 

④ 順承 連詞 ; 順接

☞ 先後關係 ; 時間性 A 則 B

• 求得之舍失之 마음으로 구하면 얻을 것이요 마음으로 버리면 잃을 것이다.

 

☞ 因果關係 ; 因果性 ‘以 A 故 B’

不能取容當世終身不仕 당시세태를 용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종신까지 벼슬하지 않았다.

 

⑤轉換 連詞 ; 抑, 然, 然而

 

• 子晳信美矣子南夫也 자석은 진실로(信) 아름다웠다. 그렇지만 자남을 남편으로 삼았다.

• 樂以天下憂以天下然而不王者未之有也

與 與

천하와 함께 즐기고 더불어 근심하고도 왕 노릇 못한 자는 있은 적이 없었다.

 

⑥ 讓步 連詞 ; 雖

• 楚雖有大富之名實空虛 초가 비록 부유하다고 이름이 나있지만 실은 텅 비어있고

• 其卒雖多然而輕走易北 그 군사 비록 많다고 하나 가벼이 쉽게 달아났다.

 

⑦ 假說 連詞; 若 苟 如 使

 

知其非義斯速已矣何待來年

만약 그 것이 의롭지 않다는 것을 안다면

곧(斯이사) 속히 (그만 둘 것이지) 어찌(已矣) 내년을 기다립니까

 

 

⑧ 語氣詞 ; 감탄, 의문, 상황의 확정을 목적으로 말의 기운에 영향을 줌

 

爾너이 爾汝 형용의 어조사 너, 너희들 爾時 그때 爾餘 그 나머지, 그 밖

 

ⅰ 提示와 整頓의 語氣詞 ; ‘者 , 也’ 강조

 

• 童寄郴州蕘牧兒 기라는 아이는 침주 사람으로 나무하고 양치는 아이니라

郴고을이름 침 나무할요

 

莊氏專其利三世矣

장씨라는 사람이 있는데 그 이익을 독차지하는 것이 3대째이다.

--- 앞에서 거론되지 않다가 새로 제시할 때 ; 有~者 사용됨

 

子謂子貢 曰 ‘女回也孰愈 --- 누구숙, 나을유

너여 연사(개사) 너는 회와 더불어 누가 더 나은가?

酒謂於水 “我與爾也孰眞” 술이 물에게 이르되 “나는 너와 더불어 누가 더 참이냐?”

 

ⅱ 終決 語氣詞; 也,耳 ; 의미강화, 확정, 焉; 사실서술

~者로 끝나는 것은 ~也로 終決

謹食時而獻삼가 기를사 그것之여기서는 짐승,

그것을 조심히 길러서 때가되면 바친다. 之+焉 개사와 어기사 역할을 동시에 함

 

宜當 마땅히 그러함, 余等나여 ; 우리들 = 吾等

 

ⅲ 疑問 語氣詞 ; 乎어조사 호 , 부사형 어미

子路問曰子見夫子자로가 물어 말하길 그대 우리스승을 보았나이까?

여기서 子는 2인칭 대사 公 卿 그대 라는 뜻, 夫子는 공자를 뜻함

 

ⅳ. 感歎 語氣詞 ; 哉 어조사 재 , 비롯할 재

 

• 悚然而聽之曰異두려워하며 그것之을 듣고 말하기를 ‘기이하구나’

• 莫然而見之曰無限막막한 그것을 보고 말하기를 “끝이 없구나”

 

ⅴ. 制限 語氣詞 ; 耳, 耳己 ~할 따름, ~할 뿐

耳는 爾와 항상 같은 자리 대신할 수 있음

• 從此道至吾軍不過二十里耳 이 길을 따라 우군에 이르려면 2십리 밖에 안된다.

ⅵ 完了 語氣詞 ; 矣--- 狀況, 行爲의 終了; 단정 결정, 한정, 의문, 반어, 영탄

• 今日病矣 • 予助苗長矣 금일 병이 났다. 나는 벼 기르는 일을 도왔다.

 

cf) 哉生魄 음력16일을 말함. 달에 처음으로 넋이 생긴다는 뜻 . 넋백 魄

 

• 萬事休矣 모든 일이 끝나 할 일이 없다. 희망이 없다.

 

其外 爲a 所 b ; a가 b하게 하다. a가 b하는 바가 되다

以a 爲 b ; a를 b로 삼다 (여기다)

 

若 假說語氣詞 萬若 萬一

 

• 狡兎死而走狗烹 ; 교활할교, 날랠교 앞잡이 사냥개. 良狗 韓信

 

의 쓰임 - (1)~에,~에서 : 처소, 출발 등의 의미일 때,(2)~보다 : 비교의 의미일 때 ☞ 요령: 서술어가 동사일 때는 ~에(~에서), 서술어가 형용사일 때는 ~보다로 해석됨.

의 쓰임 - (1) 그리고, 그래서(순접), (2) 그러나, 그렇지만(역접)의 접속사의 의미로 해석됨.

의 쓰임 - (1)~이(가): 서술어 앞에 쓰일 때, (2)~의(~하는): 명사 앞에 쓰일 때, (3)이것(그것): 서술어 뒤에 쓰일 때 ☞ 요령: 之자 뒤에 띄어쓰기나 문장이 끝났을 경우는 모두 대명사의 이것(그것)의 뜻으로 해석됨.

'漢文 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講議 7. 虛辭에 대하여  (0) 2020.06.21
漢文 理解의 基本: 講議 5, 6  (0) 2020.06.21
漢文 理解의 基本: 講議 4  (0) 2020.06.21
漢文理解의 基本 : 講議 3  (0) 2020.06.21
漢文理解의 基本 : 講議 1  (0) 202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