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尺璧非寶요 [60] 寸陰是競하라
[59] 尺璧非寶요 : 한 자 되는 구슬이 보물이 아니요
[60] 寸陰是競하라 : 한 치의 광음을 다투어야 한다.
尺(자 척) 璧(구슬 벽) 非(아닐 비, 그를 비) 寶(보배 보)
寸(마디 촌) 陰(그늘 음) 是(이 시, 옳을 시) 競(다툴 경)
[59] 尺璧非寶요 : 한 자 되는 구슬이 보물이 아니요
寶玉이 其長盈尺이면 則可謂至寶로되 而此猶未足爲寶요 別有可寶者存焉이니라
보배로운 옥이 길이가 한자나 된다면 지극한 보배라 이를 수 있으나, 이것도 오히려 족히 보배가 될 수 없고, 이외에 별도로 보배로울 만한 것이 있는 것이다.
[60] 寸陰是競하라 : 한 치의 광음을 다투어야 한다.
禹惜寸陰하시니 日晷移寸은 人所忽也로되 而聖人惜之하시니 蓋任重道遠하여 惟日不足故也니라
禹王은 한 치의 광음(光陰:짧은 시간)을 아끼셨으니, 햇볕이 한 치쯤 옮겨가는 것은 사람들은 소홀히 여기는 것이나 성인은 이를 아끼셨다. 이는 임무가 무겁고 길이 멀어 날짜를 부족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千字文 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63] 孝當竭力하고 [64] 忠則盡命하라 (0) | 2020.11.12 |
---|---|
[61] 資父事君하니 [62] 曰嚴與敬이라 (0) | 2020.11.12 |
[57] 禍因惡積하고 [58] 福緣善慶이라 (0) | 2020.11.12 |
[55] 空谷傳聲하고 [56] 虛堂習聽이라 (0) | 2020.11.12 |
[53] 德建名立하고 [54] 形端表正이라 (0)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