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진의漢字..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 强調(강조)

bindol 2020. 11. 28. 05:30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란을 신설하며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을 펴낸 성균관대학교 전광진 교수의 허락으로 경기데일리에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란을 신설합니다.

잘 알다시피 우리말의 약 70%가 한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자를 잘 모르고는 우리말 뜻을 제대로 알고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한자뿐만 아니라 쉽고 가볍게 영어를 가미한 해설과 옛 성현들의 지혜가 담긴 경구나 한시를 가미한 격언은 쏠쏠한 재미를 느낄 것입니다.
전광진 교수는 "한글만 아는 사람과 한자도 아는 사람은 생각의 깊이가 다르고, 성공의 높이가 다릅니다."라고 말합니다.
현재 face book을 통해 '하루한자'로 소개되고 있습니다만 경기데일리는 새해를 맞아 우리 문화와 역사를 제대로 알기 위하여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란을 만들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 학생이나 학부모에게는 유익한 공부가 될 것입니다.경기데일리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합니다. <편집자 주>

强 調*강할 강(弓-12, 6급)*고를 조(言-15, 5급)
‘이 사전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의 ‘강조’는 ‘强調’라 써봐야 비로소 분석이 가능하니...
强자는 ‘활 궁’(弓)이 부수이나, 의미요소는 아니다. 원래는 ‘바구미’(a weevil)를 지칭하는 글자였기에 벌레 충(虫)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弘(클 홍)은 발음요소였다고 한다.
그런데 ‘튼튼하다’(strong) ‘힘있다’(powerful) ‘굳세다’(stout)는 뜻은, 彊(굳셀 강)자를 대신해서 쓰이는 예가 많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억지로’(by force)란 뜻으로도 쓰인다.
調자는 ‘(말이 잘) 어울리다’(suitable)는 뜻을 위한 것이었으니, ‘말씀 언’(言)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周(두루 주)가 발음요소임은 雕(새길 조)도 마찬가지다. 후에 ‘고르다’(level) ‘살피다’(examine)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强調(강:조)는 ‘어떤 부분을 특별히 힘주어[强] 주장함[調]’을 이른다.힘으로 몰아 부치면 오히려 부작용이 생기게 마련이다.
옛말에 이르길,덕으로 따르게 하기는 쉽지만, 힘으로 굽히게 하기는 어렵다. 可懷以德(가회이덕), 難屈以力(난굴이력). -‘魏氏春秋’(위씨춘추)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2] 强調(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