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낱말은 비슷하게 들려도 하나에는 우리에게 마음 아픈 역사가 있다.
마을은 원래 물()에서 나온 말이다. 물가에 사람들이 모여 살며 마을을 이루었다. 중앙에서 내려 보낸 사또(使道)의 통치 관할 구역인 고을(郡)과 달리 마을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씨족사회 공동체에서 비롯되었다. 한자로 밭(田)이 있는 땅(土)인 리(里)가 마을에 가장 가깝다. 촌(村, 邨)도 있으나 이는 시장 중심의 도시인 시(市)와 상대되는 말이다. 동네(洞內)는 한자에서 온 말로 짐작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마을의 뜻으로 동(洞)을 안 쓰기에 우리말이라 할 수 있다. 마을을 뜻하는 한자로 읍(邑), 면(面) 등이 있으니 이제는 洞, 里와 함께 행정구역을 나누는 단위가 되었다. 예전에 우편봉투에 인쇄되어 쓰이기도 했던 '시(도)-시·군(구)-읍·면·동-리·통·반' 안에 우리나라 지역의 모든 주소를 나타낼 수 있었다. 그렇다면 부락은 무슨 낱말일까? 사전적 정의로는 시골에서 여러 민가(民家)가 모여 이룬 마을이다. 원래 부락(部落)은 중국에서 한나라 때부터 사용되던 말이다. 혈연으로 인한 씨족 결합 집단이다. 우리 마을의 뜻과 비슷하다. 그러나 일본에서 이 말의 순수한 뜻은 더럽혀졌다. 사무라이 시대에 무사 밑 계급인 농민 밑에 부락민을 두었다. 부락이란 천민들이 사는 마을이었다.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은 계급적 지배논리로 우리나라 마을을 부락이라고 불렀다. 마을에 사는 한국인은 부락민으로 전락되었다.
부락이라는 말 자체가 원래 나쁜 뜻은 아니었으니 그냥 써도 좋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한 번 더럽혀진 말을 쓰는 건 꺼림직하다. 특히 마을이라는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는데 부락이든, 촌락이든 다 쓸데없는 말이다. 농촌마을이 살아야 도시마을도 산다.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72> 곤욕과 곤혹 ; 느껴지는 게 다르다 (0) | 2021.04.19 |
---|---|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73> 스트레스-히스테리-노이로제- 콤플렉스-트라우마 (0) | 2021.04.19 |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75> 어여쁘다와 아름답다 ; 한자, 영어보다 좋은 (0) | 2021.04.19 |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76> 두려움과 설렘 ; 떨림의 두 종류 (0) | 2021.04.19 |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77> 토론과 포론 : 초월과 포월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