菜根譚
채근담(菜根譚) 후집(後集) <전집 225장, 후집 134장>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後-066.마음이 고요하면 이르는 곳이 모두 청산녹수이다.
後-066.
) -->
心地上(심지상)에 無風濤(무풍도)면
隨在(수재)에 皆靑山綠水(개청산녹수)요,
性天中(성천중)에 有化育(유화육)이면
觸處(촉처)에 見魚躍鳶飛(견어약연비)니라.
마음에 풍랑이 없으면
이르는 곳이 모두 청산녹수요
타고난 성품에 만물을 양육하는 기운이 있으면
이르는 곳마다 물고기가 뛰놀고 솔개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느니라.
----------------------------------
○ 心地(심지) : 마음. 마음의 본바탕.
○ 風濤(풍도) : 바람과 큰 물결. 풍랑.
○ 靑山綠水(청산녹수) : 푸른 산과 푸른 물.
○ 性天(성천) : 천성(天性). 타고난 성품.
○ 化育(화육) : 천지자연이 만물을 생성시키다. 양육하다.
○ 魚躍鳶飛(어약연비) : 물고기가 뛰놀고 솔개가 하늘에 난다. 자유롭다는 의미. 시경(詩經) 대아(大雅) 한록(旱麓)에 “鳶飛戾天(연비려천) 魚躍于淵(어약우연) : 솔개가 날면 하늘에 이르고 물고기가 뛰놀면 못에서 나오네.”라는 표현이 있다.
[출처] 後-066[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66.마음이 고요하면 이르는 곳이 모두 청산녹수이다.|작성자 swings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