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後-085.
) --> 황금은 광석에서 나오고 옥은 돌에서 나오는 것이니, 덧없는 것이 아니면 참모습을 구할 수 없다. 술 가운데서 도를 깨닫고 꽃 속에서 신선을 만남은 비록 고상한 일이긴 하나 속됨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 --> ----------------------------------- ) --> ○ 非幻(비환) 無以求眞(무이구진) : 황금과 옥이 광석과 돌과 같은 것에서 나오듯이 사물에 제 바탕이 없어진 상태가 아니면 참모습을 알 수 없다는 뜻. 불교의 금강경에서는 “일체가 존재하는 법(法)은 꿈(夢) 가운데 보는 것 같고 환상과 같아서 진실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 雅(아) : 고아(高雅). 고상하고 우아함. ○ 離俗(이속) : 속세를 벗어남. |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087[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87.모든 것은 생각에 달려 있다 (0) | 2018.10.19 |
---|---|
後-086[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86.진리를 깨달으면 만물은 다 같은 것으로 보인다 (0) | 2018.10.19 |
後-084[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84.생각을 맑게 하고 마음을 비워라 (0) | 2018.10.15 |
後-083[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83.천성이 맑으면 몸과 마음이 편안하다 (0) | 2018.10.15 |
後-082[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82.자연 그대로의 것이라야 참된 맛을 느낄 수 있다 (0) | 2018.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