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後-119.
) --> 자식이 태어날 때 어머니가 위험하고 돈이 쌓이면 도둑이 엿보니 어떤 기쁨인들 근심이 아니겠는가? 가난은 절약하게 하고 병은 몸을 보전하게 하니 어떤 근심인들 기쁨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달인은 순경과 역경을 한 가지로 보아 기쁨과 근심을 모두 잊느니라. ) --> --------------------------------- ) -->
○ 鏹積而盜窺(강적이도규) : 돈이 쌓이면 도적이 엿본다. 鏹은 돈 ‘강’으로 옛날에 돈을 꿰어놓는 노끈이었으나 금은(金銀)을 이르는 말이 되었다. 窺는 엿볼 ‘규’. ○ 貧可以節用(빈가이절용) : 가난은 절약하게 함. 가난하게 되면 사람으로 하여금 근검하게 만든다는 뜻. 절용(節用)은 아껴서 씀. ○ 順逆一視(역순일시) : 순경과 역경을 한 가지로 봄.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58장에 “화는 복이 의지하는 곳이고 복은 화가 숨는 곳이다.(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라고 하였다. ○ 欣戚(흔척) : 기쁨과 슬픔. 欣은 기쁠 ‘흔’. 戚은 근심할 ‘척’ |
'菜根譚'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122[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122.정도가 지나치면 추악한 경지에 이른다 (0) | 2018.11.21 |
---|---|
後-121[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121.괴로움은 마음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0) | 2018.11.20 |
後-118[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118.사람의 마음은 흔들릴 때 본성을 잃는다 (0) | 2018.11.19 |
後-120[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120.바람의 자취와 달그림자는 지나가면 머물지 않는다 (0) | 2018.11.19 |
後-117[채근담 후집(菜根譚 後集)] 117.너무 한가하면 잡념이 생긴다 (0) | 2018.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