菜根譚

[스크랩] 168[채근담(菜根譚)] 前集 168.남의 잘못에는 관대하고 자기의 잘못에는 엄격하라

bindol 2018. 6. 8. 05:46



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전집 225, 후집 134>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

168.남의 잘못에는 관대하고 자기의 잘못에는 엄격하라.




) --> 

168.

) --> 

人之過誤(인지과오)宜恕(의서)

而在己則不可恕(이재기즉불가서)

己之困辱(기지인욕)當忍(당인)이나

而在人則不可忍(이재인즉불가인)이라

) --> 

) --> 

남의 잘못은 마땅히 용서해야 하나

자신의 잘못은 용서하지 말라.

나의 괴로움은 마땅히 참아야 하나

남의 괴로움은 참아서는 안 될지니라.

) --> 

------------------------------------

) --> 


 

宜恕(의서) : 마땅히 용서하다. 는 마땅 ’.

() : 접속사(역접). ‘그러나

困辱(인욕) : 괴로움과 모욕을 당함.

) --> 

--------------------------------------

) --> 

[참고]

) --> 

耳不聞人之非(이불문인지비)하고 目不視人之短(목불시인지단)하고

口不言人之過(구불언인지과)라야 庶幾君子(서기군자)니라

) --> 

귀로는 남의 나쁜 것을 듣지 말고, 눈으로는 남의 단점을 보지 말고,

입으로는 남의 허물을 말하지 않아야 군자에 가깝다.

<明心寶鑑(명심보감) 5.正己篇(정기편) 23.>

) --> 

不責人小過(불책인소과)하고 不發人陰私(불발인음사)하며 不念人舊惡(불념인구악)하라三者(삼자)可以養德(가이양덕)하고 亦可以遠害(역가이원해)니라

) --> 

남의 작은 허물을 꾸짖지 말고, 남의 비밀을 들추어내지 말며, 남의 지난날 잘못을 염두에 두지 말라. 이 세 가지를 지키면 덕을 기를 수 있고, 또한 해악을 멀리할 수 있느니라.

<채근담(菜根譚)] 前集 105.>



출처 : 석양길 나그네
글쓴이 : bindo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