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路問强 10-01 子路問强한대 자로가 강함을 물었는데, [注] 强은 勇者所好也라 강함은 용감한 자가 좋아하는 바라. [章句] 子路는 孔子弟子니 仲由也라 子路는 好勇故로 問强이라 자로는 공자 제자니 중유이라. 자로는 용맹을 좋아하므로 강함을 물음이라. [講說] 자로(姓은 仲, 이름은 由, 字는 子路.. 中庸 2019.04.06
爵祿可辭也 白刃可蹈也 中庸不可能也 09-01 子曰天下國家도 可均也며 爵祿도 可辭也며 白刃도 可蹈也로되 中庸은 不可能也니라 공자 가라사대 “천하국가도 가히 고르게 하며, 벼슬과 녹도 가히 사양하며, 하얀 칼날도 가히 밟는데, 중용은 가히 능하지 못하니라.” [注] 言中庸難爲之難이라 중용의 어려움은 하기가 어려움을 .. 中庸 2019.04.06
拳拳服膺而弗失之矣 08-01 子曰回之爲人也 擇乎中庸하며 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니라 공자 가라사대 “회의 사람됨이 중용을 가리며 하나라도 선함을 얻으면 받들어 가슴에 품어 잃지 않느니라.” [注] 拳拳은 奉持之貌라 권권(拳拳)은 받들어 지닌 모양이라. [章句] 回는 孔子弟子顔淵名이라 拳拳은 奉.. 中庸 2019.04.06
擇乎中庸而不能期月守也 07-01 子曰人皆曰予知로되 驅而納諸罟擭陷阱之中而莫之知辟也하며 人皆曰予知로되 擇乎中庸而不能期月守也니라 공자 가라사대 “사람이 모두 말하기를 내가 안다 하는데, 몰아서 저 그물과 덫과 함정 속에 들이게 하면 피할 줄을 알지 못하며, 사람이 모두 말하기를 내가 안다 하는데, .. 中庸 2019.04.06
06-01 舜其大知也與 06-01 子曰舜은 其大知也與신저 舜은 好問而好察邇言하시되 隱惡而揚善하시며 執其兩端하사 用其中於民하시니 其斯以爲舜乎신저 공자 가라사대, “순임금은 그 크게 지혜로우시다.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시고 가까운 말을 살피기를 좋아하시되 악함을 숨기고 선함을 드날리시며 그 양 .. 中庸 2019.04.06
05-01 道其不行矣夫 05-01 子曰道其不行矣夫인저 공자 가라사대, “도가 그 행해지지 못하리라.” [注] 閔無明君教之라 밝은 인군의 가르침이 없음을 민망히 여김이라. [疏] 正義에 曰此一節은 是子思引仲尼之言하여 廣明中庸之行하고 賢者過之不肖者不及也는 中庸之道를 鮮能行之라 君子中庸者는 庸은 常也.. 中庸 2019.04.06
03-01 中庸 其至矣乎 ,民鮮能久矣 03-01 子曰中庸은 其至矣乎인저 民鮮能久矣니라 공자 가라사대 “중용은 그 지극하도다. 백성들 가운데 능한 이가 드물게 된 지 오래니라.” [講說] 위 내용은 『논어』 옹야편에 “子曰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인저 民鮮이 久矣니라”고 되어 있다. [注] 鮮은 罕也라 言中庸爲道至美하나 顧.. 中庸 2019.04.06
02-02 君子而時中 ,小人而無忌憚也 02-02 君子之中庸也는 君子而時中이오 小人之中庸也는 小人而無忌憚也니라 군자의 중용은 군자이면서 때맞추고 소인의 중용은 소인이면서 어렵게 여김에 꺼림이 없느니라. [注] 庸은 常也라 用中爲常은 道也라 反中庸者는 所行非中庸이나 然亦自以爲中庸也라 君子而時中者는 其容貌君.. 中庸 2019.04.06
02-01 君子中庸, 小人反中庸 02-01 仲尼曰君子는 中庸이오 小人은 反中庸이니라 중니 가라사대, “군자는 중용이오, 소인은 중용에 반하느니라.” [章句] 中庸者는 不偏不倚無過不及而平常之理니 乃天命所當然이오 精微之極致也라 唯君子라야 爲能體之요 小人은 反是니라 중용은 치우치지도 않고 기울어지지도 않고.. 中庸 2019.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