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場 *저자 시(巾-5, 7급) *마당 장(土-12, 7급) 경제학에서 ‘상품으로서의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추상적인 영역’이라 정의하는 ‘시장’은 ‘市場’이라 써서 분석을 해봐야 그러한 정의를 쉽게 이해할 수 있기에... 市자의 자형에 대하여는 이설이 많은데, ‘시장’(a market)을 나타내는 팻말 모양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가장 일반적이다. ‘저자’는 ‘시장’의 옛말이다. 옛날 최초의 ‘시장’은 물을 길으러 오는 사람들로 붐비던 ‘우물가’였다고 하는데, 市井(시정)이란 낱말이 그 증거다. 이 말을 아는 것은 좋지만, 시정잡배(市井雜輩)가 되면 안 좋다. 場자는 원래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평평하게 골라 놓은 ‘땅’(site; ground)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으니 ‘흙 토’(土)가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