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dol 1119

노후(老後)의 삶을 성실(誠實)하게

노후(老後)의 삶을 성실(誠實)하게 사람은 늙어 가면서 자신의 삶에 더욱 성실해야 합니다. 늙음은 저주가아니고 하늘의 축복이란 생각에 이르면, 노인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갈 수 있음도 오직 한번 박에 누릴수 없는 행복한 시간이며 인생의 가장 소중하고 짧은 기회임을 알게 됩니다. 늙음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노후의 삶을 부정적으로보기 보기보다는 긍정적으로 감사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슬기로운 지혜가 필수입니다. 노후의 모든 것들을 완성과 성숙으로 감사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면 삶에 더 가치 있게 되고 남아 있는 시간이 얼마나 중하고 귀한 가를 알게 됩니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슬기로운 준비와 치열한 자기 노력이 있어야 품위 있고 긍정적으로 멋지게 늙어갈 수 있습니다. 늙어서도 자신의 삶에 성실하면 타인에게 짐..

bindol 2020.09.05

늙어서도 내 것이 있어야

늙어서도 내 것이 있어야 행복한 노후는 모든 사람의 꿈인 동시에 또한 의무고 책임이기도 합니다. 건강하게 운동하며 마음 편(便)하고 즐겁게 사는 것은 기본이며, 비록 나이가 많다고 해도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능력의 범위내에서 일하는 노인은 참 멋집니다. 은퇴 전 열심히 활동할 수 있을때 노후를 위해 절제하며 낭비를 멀리하고 저축하며 여러 변수에 대비하는 것은 슬기로운 조치입니다. 노후준비를 쉽게 생각하고 소홀하면 가족에게나 사회에 짐이 될 확률이 많아집니다. 행복한 늙은이 될 것이냐, 짐이 되는 미운 노인으로 살 것이냐, 하는 것은 예외도 있으나 스스로의 몫이 되고 자기하기 나름입니다. 문명의 이기와 풍요가 넘치는 첨단사회에서 자신의 노후를 자식에게나 사회복지에만 의탁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된다..

bindol 2020.09.03

노년시대 (老年時代) 무엇으로 사는가?

노인은 무엇으로 사는가?"에 대한 답(答) 즉 사회 쇠약증후군(Social Breakdown Syndrome)을 앓고 있는 실버세대를 위한 하나의 대안이기도 하다. 특히, 나이가 드신 분들이 잃어버린 건강과 재산을 조금이라도 회복하게 하는 가장 정직한 방법이 있다면, 또한 노후 ‘삶의 질(質)’을 향상시키는 가장 평화로운 방법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자연과 순화되고 동화하여 자연의 과실을 얻는 것이라 확신했던 것이다. 그만큼 오늘을 사는 대한민국 노년세대의 미래가 불투명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의 그릇’이 작다는 뜻이기도 하다. 노년층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은 이제 새로울것도 없다.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년층 비율이 13.1%(세계평균 9%)라고 한다. ..

bindol 2020.09.03

노년(老年)을 즐겁게 보내는 비결(秘訣)

老年을 즐겁게 보내는 秘訣 끝이 아름다워야 모든 것이 아름답듯이 인간의삶도 노년기가 아름답고 즐거워야만 행복한 노년이 됩니다. 노후가 우아하고 행복하기 위해 늙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드리는 편안한 마음이 필요합니다. 편안한 마음은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고 겸손을 배웁니다. 겸손한 태도는 몸을 나추고 생각을 깊게 하여 앞으로 남은 시간들을 알차고 즐겁게 보내게 만듭니다. 젊은시절에 무심코 지나치든 것에도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려고 노력하며 원망보다는 사랑하는 마음으로 용서하며 나누어주고 싶은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자신을 고통스럽게 했던 모든 것들이 세월이 지나고 나면 아름다운 추억으로 기억됩니다. 노년을 즐겁게 보내는 비결의 하나는 욕심을 버리고 삶을 담담하게 바라보는 빈 마음이 있어야하고 건강과 경제적 여유..

bindol 2020.08.23

老人의 五刑 五樂

天地에는 四時의 질서가 있습니다. 마찬 가지로 사람에게는 일생에 時期가 있지요. 천지가 그 질서를 어기지 아니하므로 만물이 나고 자라고 열매를 맺고 거두는 次序를 얻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사람도 그 시기를 잃지 아니하여야 일생의 생활과 生死去來에 圓滿함을 얻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우리 인간은 幼年期에는 문자를 배우게 합니다. 그리고 壯年期에는 道學을 배우며 制度事業에 노력하지요. 또한 老年期에는 경치좋고 한적한 곳에 들어가서 세상의 愛着, 貪着, 怨着을 다 여의고 生死大事를 연마 하게 합니다. 이것이 인생에 시기를 잃지않고 또 노년을 맞이하는 休養의 道가 아닌가요? 사람이 늙어 갈수록 孤高하고 淸潔하며 品格을 잃으면 안됩니다. 이 차서를 잊고 제멋대로의 인생길을 걸어온 사람은 아무리 보아도 ..

bindol 2020.08.18

노인(老人)들에게 드리는 솔직(率直)한 이야기

♣ 老人들에게 드리는 率直한 이야기 ♣ 老人에 對하여 젊은 사람이 갖는 率直한 印象은 추(醜)하다는 것이다. 얼굴에 반점(斑點)이나 주름이 늘고 머리카락은 적어진다. 많은 지방질(脂肪質)이 쌓여 몸은 뚱뚱하다는 느낌이든다. 사람에 따라서는 체취(體臭) 나 구취(口臭)도 강(强)해진다. 체형(體型)도 등이 굽고 허리통이 굵어진다. 젊었을 때의 날씬한 아름다움은 상상(像想)도 할 수없을 정도로 아름다움을 상실(喪失)하게 된 모습 남의 아기나 어린이는 귀엽다는 생각으로 손을 내밀어 만지게 되지만, 노인에 대해 선 그런 일은 드물다.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讓步) 한다든지 부딪치지 않으려고 주의(注意)를 기울이는 조그만 친절(親切) 은 누구나 행(行)하고 있지만 그 이상(以上)의 것은 하지않는다. 그 일을 정확(..

bindol 2020.08.18

당신은 복 있는 사람

당신은 복 있는 사람 물고기는 물과 다 투지 않습니다. 물이 조금 차가우면 차가운 대로 물과 같이 어울려 살아갑니다. 물고기는자신이 물과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고 고맙기 때문입니다. 산에 있는나무는 산과 다투지 않습니다. 자신의 자리가 좁으면 좁은 대로 큰 나무들이 있으면 있는 대로 어울려 사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고 고맙기 때문입니다. 해님은 구름과 다투지 않습니다. 구름이 자신의 얼굴을 가리면서 잘난척을 해도 조용히 참고 기다렸다가 찡그렸던 하늘을 더 파랗고 맑게 해줍니다 복 있는 사람은 자신을 불평하지 않습니다. 언제나 현재에 충실합니다. 복스러운 사람은 매순간 순간이 감사하고 복스럽지 못한 사람은 매순간 순간이 불평 불만입니다. 이렇듯 복이란 그저 모든 것에 감사하는 마음 죽 고마움입니다. 고맙..

bindol 2020.08.17

100세까지 건강한 삶을 위한 12가지 | 건강 상식방

1. '일십백천만'의 이론을 실천하라 일 : 하루에 한 가지 이상 좋은 일을 하고 십 : 하루에 열 번 이상 웃고 백 : 하루에 백 자 이상 글을 쓰고 천 : 하루에 천 자 이상 글을 읽고 만 : 하루에 만 보 이상 걷는 것입니다. 2. 마늘을 하루 1~2알 정도 섭취하라 하루 5㎖의 마늘을 섭취하면 체내 유해 화학물질을 48%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암이나 면역체계 이상,관절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기억력 감소 치매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적당한 운동을 꾸준히 하라 주 3회 정도 적당한 운동을 하면 뼈가 튼튼해지는 것은 물론 심장질환 발병 위험이 줄어든다. 산책은 적당한 긴장감이 느껴질 정도의 빠른 걸음으로 하는 것이 좋다. 4. 정제하지 않은 곡물 섭취하라 정제하지 않은 곡물..

bindol 2020.08.17

老後의 삶을 祝祭로 살고 싶습니다

老後의 삶을 祝祭로 살고 싶습니다 노후의 삶을 축제로 감사하며 즐겁게 살고 싶습니다. 꽃향 가득한 녹색의 자연에서 소박하고 간결한 삶을 즐기며, 원망 없이 살고 싶습니다. 마음에 색동옷 입고 밝은 마음으로 사랑하고 축복하며살고 싶습니다. 아프지 않게 건강을 지키며 궁핍하지 않도록 부지런하고 고운 마음으로 자신을 다독이며 여유롭게 축제처럼 즐거워하며 행복하게 살고 싶습니다. 포기할 것은 포기하고 근심 걱정 없는듯 만족 해 하며 가벼운 마음으로 살고 싶습니다. 내 식대로 삶을 즐기며 내 리듬대로 일하며 남에게 짐이되지 않도록 멋지고 슬기롭게 노후를 살고 싶습니다. 남이 아닌 내 개성과 특성대로 멋에 겹도록 아름답고 행복하게 살고싶습니다. 사소한 일에 연연치 않고 마음 비우고 느긋하게 축제처럼 늙음을 즐기며 ..

bindol 2020.08.14

老年期 삶은 逆境의 克服과 忍耐心이다

老年期 삶은 逆境의 克服과 忍耐心이다 인생이 어디 내 생각대로 흘러가던가? 요새 노인들이 만나면 “살맛이 안나? 자식들 눈치도 보이고 정말 사는 게 아니야?” 하며 한숨 짖는다. 죽지 못해 사는 전전긍긍 인생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런 고통을 이기는 것이 노인의 삶이다. 노인으로서 평안한 삶이 주어지더라도 반드시 고통이 존재한다. 한평생 손을 내밀어 무엇인가 잡으려고 했지만 이제 남은 것도 없고 또 잡을 힘도 없어졌다. 젊어서 세상과 맞장 뜨던 동물성도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늙어서 찾아오는 리스크(위험)는 신체적, 정서적, 경제사회적 위험일 것이다. 여기에 대처하는 능력은 바로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 관계에서 잘 적응하며 인내하는 삶이다. 초고속 사회에서 인내심은 고통이다. 빨리빨리에 길들여진 우리들은 더욱..

bindol 2020.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