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376

(116) 념필륜지恬筆倫紙 균교임조鈞巧任釣

▶ 훈음訓音 恬 편안할 념 / 筆 붓 필 / 倫 인륜 륜 / 紙 종이 지 鈞 서른근 균 / 巧 공교할 교 / 任 맡길 임 / 釣 낚을 조 ▶ 풀이 몽념(恬)은 붓(筆)을 만들었고 채륜(倫)은 종이(紙)를 만들었으며 마균(鈞)은 기교(巧)가 있었고 임공자(任)는 낚시(釣)를 만들었다. ▶ 자원字源 恬 : 마음 심忄, 달 첨甛의 생략형(기분이 좋다, 첨→념)이 결합했다. 달달한 기분이라는 데서 '편안하다'를 뜻한다. 筆 : 대 죽竹, 붓 율聿(붓을 손으로 쥔 모습)이 결합했다. 대나무로 만든 붓이라는 데서 '붓'을 뜻한다. 倫 : 사람 인亻, 생각할 륜侖(책이 쌓여있는 모습 → 책을 읽다)이 결합했다. 사람이 책을 읽고 많은 것을 생각하여 지켜지는 질서라는 데서 '인륜'을 뜻한다. 紙 : 가는실 멱糸(섬유질..

千字文 工夫 2022.06.18

(115) 포사료환布射僚丸 혜금완소嵇琴阮嘯

▶ 훈음訓音 布 베 포 / 射 쏠 사 / 僚 동료 료 / 丸 둥글 환 嵇 산 이름 혜 / 琴 거문고 금 / 阮 성씨 완 / 嘯 휘파람 불 소 ▶ 풀이 려포(布)는 활쏘기(射)에 능했고 웅의료(僚)는 롱환(丸)을 잘했으며 혜강(嵇)은 거문고(琴)를 잘 탔고 완적(阮)은 휘파람(嘯)을 잘 불었다. ▶ 자원字源 布 : 또 우又(손), 수건 건巾(봉에 천이 걸려있는 모습)이 결합했다. 천을 넓게 펴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베', '펴다' 등을 뜻한다. 射 : 몸 신身(활과 화살), 마디 촌寸(또 우又의 변형, 손)이 결합했다. 손으로 활을 쏘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쏘다'를 뜻한다. 僚 : 사람 인亻, 횃불 료尞(밝게 빛나다)가 결합했다. 밝게 빛나는 사람이라는 데서 '동료', '관료' 등을 뜻한다. 丸 : 기..

千字文 工夫 2022.06.18

(114) 주참적도誅斬賊盜 포획반망捕獲叛亡

▶ 현토음독懸吐音讀 주참적도誅斬賊盜하고 포획반망捕獲叛亡이라 ▶ 훈음訓音 誅 벨 주 / 斬 벨 참 / 賊 도둑 적 / 盜 도둑 도 捕 잡을 포 / 獲 얻을 획 / 叛 배반할 반 / 亡 망할 망 ▶ 풀이 역적(賊)과 도둑(盜)은 베고(誅斬) 배반하여(叛) 도망하면(亡) 포획한다(捕獲). ▶ 자원字源 誅 : 말씀 언言(무언가 퍼져나가는 모습), 붉을 주朱가 결합했다. 피가 쏟아지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베다'를 뜻한다. 斬 : 수레 거車, 도끼 근斤이 결합했다. 사지를 4대의 수레에 각각 묶고 머리를 도끼로 쳐 죽이는 형벌을 표현한 데서 '베다'를 뜻한다. 賊 : 조개 패貝, 병장기 융戎이 결합했다. 무력으로 재물을 강탈하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도둑', '역적' 등을 뜻한다. 盜 : 버금 차次(입을 벌리고 ..

千字文 工夫 2022.06.18

(113) 려라독특驢騾犢特 해약초양駭躍超驤

▶ 현토음독懸吐音讀 려라독특驢騾犢特이 해약초양駭躍超驤이라 ▶ 훈음訓音 驢 당나귀 려 / 騾 노새 라 / 犢 송아지 독 / 特 특별할 특 駭 놀랄 해 / 躍 뛸 약 / 超 뛰어넘을 초 / 驤 머리 들 양 ▶ 풀이 나귀(驢)와 노새(騾)와 송아지(犢)와 소(特)가 놀라서(駭) 뛰고(躍) 뛰어오르며(超) 달린다(驤). ▶ 자원字源 驢 : 말 마馬, 성씨 로盧(화로→검다, 로→려)가 결합했다. 말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검은 빛을 띤다는 데서 ‘당나귀’를 뜻한다. 騾 : 말 마馬, 여러 루累(중첩되다, 루→라)가 결합했다. 수나귀와 암말의 교배로 나왔다는 데서 ‘노새’를 뜻한다. 犢 : 소 우牛, 팔 매賣(나가다, 매→독)이 결합했다. 어미 소의 몸에서 나왔다는 데서 ‘송아지’를 뜻한다. 特 : 소 우牛, 절 사寺..

千字文 工夫 2022.06.18

(112) 해구상욕骸垢想浴 집열원량執熱願涼

▶ 현토음독懸吐音讀 해구상욕骸垢想浴하고 집열원량執熱願涼이라 ▶ 훈음訓音 骸 뼈 해 / 垢 때 구 / 想 생각 상 / 浴 목욕할 욕 執 잡을 집 / 熱 더울 열 / 願 원할 원 / 涼 서늘할 량 ▶ 풀이 몸(骸)이 더러우면(垢) 목욕(浴)을 생각하고(想) 뜨거운 것(熱)을 잡으면(執) 시원하기(涼)를 바란다(願). ▶ 자원字源 骸 : 뼈 골骨, 돼지 해亥(살을 발라내다)가 결합했다. 뼈만 남은 앙상항 모습을 나타낸 데서 '뼈', '몸뚱이' 등을 뜻한다. 垢 : 흙 토土, 뒤 후后(딸리다→묻다, 후→구)가 결합했다. 흙이 묻었다는 데서 '때', '더럽다' 등을 뜻한다. 想 : 서로 상相(자세히 보다), 마음 심心이 결합했다. 자신의 내면을 자세히 살핀다는 데서 '생각하다'를 뜻한다. 浴 : 물 수氵, 골 곡..

千字文 工夫 2022.06.18

(111) 전첩간요牋牒簡要 고답심상顧答審詳

▶ 훈음訓音 牋 문서 전 / 牒 편지 첩 / 簡 대쪽 간 / 要 요긴할 요 顧 돌아볼 고 / 答 대답 답 / 審 살필 심 / 詳 자세할 상 ▶ 풀이 문서(牋)와 편지(牒)는 간결하며(簡) 긴요하고(要) 안부하며(顧) 답함(答)은 자세히(詳) 살핀다(審). ▶ 자원字源 牋 : 조각 편片, 나머지 잔戔(쌓다)이 결합했다. 나뭇 조각 상소문이 쌓여있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문서'를 뜻한다. 牒 : 조각 편片, 잎 엽枼(엽→첩)이 결합했다. 나뭇 조각을 나뭇잎처럼 얇게 만들어 쓴 편지라는 데서 '편지'를 뜻한다. 簡 : 대 죽竹, 사이 간間이 결합했다. 대나무 줄기를 쪼갠 모습을 나타낸 데서 '대쪽'을 뜻한다. 要 : 덮을 아襾, 계집 녀女가 결합다. 여자가 양손으로 허리띠를 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허리띠..

千字文 工夫 2022.06.18

(110) 계상재배稽顙再拜 송구공황悚懼恐惶

▶ 훈음訓音 稽 상고할 계 / 顙 이마 상 / 再 두 재 / 拜 절 배 悚 두려울 송 / 懼 두려워할 구 / 恐 두려울 공 / 惶 두려울 황 ▶ 풀이 이마(顙)를 조아려(稽) 두 번(再) 절하니(拜) 송구하고(悚懼) 공황하다(恐惶). ▶ 자원字源 稽 : 벼 화禾, 더욱 우尤(손에 물건을 쥔 모습), 뜻 지旨(음식을 먹는 모습, 지→계)가 결합했다. 벼를 손에 쥐고 놓으며 헤아리거나 맛을 본다는 데서 '상고하다'를 뜻한다. 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고개를 숙인다는 데서 '조아리다'를 뜻하기도 한다. 顙 : 뽕나무 상桑, 머리 혈頁이 결합했다. 이마는 머리에서 뽕잎처럼 넓은 부위라는 데서 '이마'를 뜻한다. 再 : 물고기가 반복적으로 수면에 올라오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거듭', '두 번' 등을 뜻한다. ..

千字文 工夫 2022.06.18

(109) 적후사속嫡後嗣續 제사증상祭祀蒸嘗

▶ 훈음訓音 嫡 정실 적 / 後 뒤 후 / 嗣 이을 사 / 續 이을 속 祭 제사 제 / 祀 제사 사 / 蒸 찔 증 / 嘗 맛볼 상 ▶ 풀이 적자(嫡)는 뒤(後)를 사속하여(嗣續) 제사(祭祀)는 증제(蒸)과 상제(嘗)을 지낸다. ▶ 자원字源 嫡 : 계집 녀女, 밑동 적啇(임금 제帝와 입 구口의 합자, 공동체의 근본이 되는 임금이 제단에서 말하는 모습)이 결합했다. 본 아내라는 데서 '정실'을 뜻한다. 後 : 조금걸을 척彳, 작을 요幺(포승줄), 뒤쳐져올 치夂가 결합했다. 발목에 끈이 묶인 죄수가 뒤쳐져 걷는다는 데서 '뒤'를 뜻한다. 嗣 : 입 구口(읽다), 책 책冊(문서), 맡을 사司가 결합했다. 문서를 읽고 맡은 일을 인수한다는 데서 '잇다'를 뜻한다. 續 : 가는실 멱糸(이어지다), 팔 매賣가 결합했..

千字文 工夫 2022.06.18

(108) 교수돈족矯手頓足 열예차강悅豫且康

▶ 훈음訓音 矯 바로잡을 교 / 手 손 수 / 頓 조아릴 돈 / 足 발 족 悅 기쁠 열 / 豫 미리 예 / 且 또 차 / 康 편안 강 ▶ 풀이 손(手)을 들고(矯) 발(足)을 구르니(頓) 기쁘고(悅) 즐거우며(豫) 또(且) 편안하다(康). ▶ 자원字源 矯 : 화살 시矢, 높을 교喬(뛰어나다)가 결합했다. 휜 화살을 곧게 만든다는 데서 '바로잡다'를 뜻한다. 手 : 사람의 손을 표현한 데서 '손'을 뜻한다. 頓 : 진칠 둔屯(둔→돈), 머리 혈頁이 결합했다.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한다는 데서 '조아리다'를 뜻한다. 足 : 무릎부터 발끝까지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발'을 뜻한다. 발은 몸을 지탱하는 기초라는 데서 '충족하다', '족하다'의 뜻으로 파생됐다. 悅 : 마음 심忄, 바꿀 태兌(입을 벌리고 크게 웃..

千字文 工夫 2022.06.18

(107) 현가주연絃歌酒讌 접배거상接杯擧觴

▶ 훈음訓音 絃 줄 현 / 歌 노래 가 / 酒 술 주 / 讌 잔치할 연 接 이을 접 / 杯 잔 배 / 擧 들 거 / 觴 잔 상 ▶ 풀이 현악기를 타고(絃) 노래하며(歌) 술(酒)로 잔치하고(讌) 잔(杯)을 주고받으며(接) 잔(觴)을 든다(擧). ▶ 자원字源 絃 : 가는실 멱糸, 검을 현玄(활 시위)이 결합했다. 현악기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현악기'를 뜻한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현악기 현弦을 쓴다. 歌 : 노래 가哥(쟁기질을 하며 노래하다), 하품 흠欠(입을 크게 벌리다)이 결합했다. 입을 크게 벌려 노래부른다는 데서 '노래하다'를 뜻한다. 酒 : 물 수氵, 닭 유酉(술병)가 결합했다. 술병에 담긴 술이라는 데서 '술'을 뜻한다. 讌 : 말씀 언言, 제비 연燕이 결합했다. 봄이 제비를 불러들이듯이 소문을..

千字文 工夫 202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