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376

(086) 서기중용庶幾中庸 로겸근칙勞謙謹勅

▶ 현토음독懸吐音讀 서기중용庶幾中庸이면 로겸근칙勞謙謹勅하라 ▶ 훈음訓音 庶 여러 서 / 幾 몇 기 / 中 가운데 중 / 庸 떳떳할 용 勞 일할 로 / 謙 겸손할 겸 / 謹 삼갈 근 / 勅 칙서 칙 ▶ 풀이 거의(庶幾) 치우침 없이(中) 알맞으려면(庸) 근로하고(勞) 겸손하고(謙) 삼가고(謹) 다스려야(勅) 한다. ▶ 자원字源 庶 : 집 엄广(기슭 엄厂의 변형)과 빛 광炗(빛 광光의 옛글자)이 결합했다. 산기슭에서 불을 피우는 서민들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비천하다’, ‘여러’ 등을 뜻한다. 幾 : 창 과戈, 사람 인人, 작을 요幺가 결합했다. 옷감을 짜는 베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래 베틀을 뜻했으나 수없이 날실을 조작한다는 데서 ‘몇’, ‘얼마’ 등의 횟수와 관계된 뜻으로 가차됐다. 여기에 나무 ..

千字文 工夫 2022.06.18

(085) 맹가돈소孟軻敦素 사어병직史魚秉直

▶ 현토음독懸吐音讀 맹가돈소孟軻敦素하고 사어병직史魚秉直이라 ▶ 훈음訓音 孟 맏 맹 / 軻 굴대 가 / 敦 도타울 돈 / 素 본디 소 史 사기 사 / 魚 물고기 어 / 秉 잡을 병 / 直 곧을 직 ▶ 풀이 맹자(孟軻)는 소양(素)을 기르는 데 부지런히 힘썼고(敦) 사어(史魚)는 곧은(直) 지조를 간직했다(秉). ▶ 자원字源 孟 : 아들 자子와 그릇 명皿(명→맹)이 결합했다. 높은 단상에 올라선 사람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맏', '우두머리' 등을 뜻한다. 현재는 대부분 맹자孟子의 약칭으로 쓰이고 있다. 軻 : 수레 거車(수레바퀴)와 옳을 가可(마주 대하다 → 잇다)가 결합했다. 수레바퀴에 잇는 것이라는 데서 굴대를 뜻한다. 敦 : 누릴 향享(사당)과 칠 복攵(막대기를 쥔 모습)이 결합했다. 제사 때 규圭 ..

千字文 工夫 2022.06.18

(084) 세숙공신稅熟貢新 권상출척勸賞黜陟

▶ 훈음訓音 稅 세금 세 / 熟 익을 숙 / 貢 바칠 공 / 新 새 신 勸 권할 권 / 賞 상줄 상 / 黜 내칠 출 / 陟 오를 척 ▶ 풀이 익은 곡식(熟)으로 부세하며(稅) 새것(新)을 종묘에 올리고(貢) 상(賞)을 권하고(勸) 내치거나(黜) 올린다(陟). ▶ 자원字源 稅 : 벼 화禾, 바꿀 태兌가 결합했다. 국가로부터 받는 혜택을 수확물과 교환한다는 데서 '세금'을 뜻한다. 熟 : 누구 숙孰(사당에서 제사 지내는 모습), 불 화火가 결합했다. 제사를 지낼 때 익힌 제물을 바친다는 데서 ‘익다’를 뜻한다. 貢 : 장인 공工(벼슬아치 또는 관리), 조개 패貝가 결합했다. 제후가 천자에게 바치는 재물이라는 데서 ‘바치다’, ‘공물’ 등을 뜻한다. 新 : 설 립立, 나무 목木, 도끼 근斤이 결합했다. 나무를..

千字文 工夫 2022.06.18

(083) 숙재남묘俶載南畝 아예서직我藝黍稷

▶ 현토음독懸吐音讀 숙재남묘俶載南畝하고 아예서직我藝黍稷이라 ▶ 훈음訓音 俶 비로소 숙 / 載 실을 재 / 南 남녘 남 / 畝 이랑 묘 我 나 아 / 藝 재주 예 / 黍 기장 서 / 稷 피 직 ▶ 풀이 비로소(俶) 앞(南) 이랑(畝)을 일구고(載) 나(我)는 기장(黍)과 피(稷)를 심는다(藝). ▶ 자원字源 俶 : 사람 인亻과 아저씨 숙叔(콩깍지를 줍는 모습)이 결합했다. 어지럽게 흩어진 콩깍지를 정리하기 시작하는 사람이라는 데서 '비로소'를 뜻한다. 載 : 수레 거車와 어조사 재哉(창과 창술)가 결합했다. 수레에 무기를 싣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싣다'를 뜻한다. 짐을 실어야 출발한다는 데서 ‘시행하다’, '(밭을) 일구다' 등의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위 구절에서는 '일구다'의 뜻으로 쓰였다. 南 : ..

千字文 工夫 2022.06.18

(082) 광원면막曠遠綿邈 암수묘명巖岫杳冥

▶ 훈음訓音 曠 빌 광 / 遠 멀 원 / 綿 솜 면 / 邈 멀 막 巖 바위 암 / 岫 산굴 수 / 杳 아득할 묘 / 冥 어두울 명 ▶ 풀이 먼 곳까지(遠) 탁 트여(曠) 널리(邈) 이어져 있고(綿) 바위(巖)와 산봉우리(岫)가 아득하고(杳) 희미하다(冥). ▶ 자원字源 曠 : 날 일日, 넓을 광廣이 결합했다. 그림자 없이 햇빛이 넓게 비치는 곳이라는 데서 '비다', '탁 트이다' 등을 뜻한다. 遠 : 쉬엄쉬엄갈 착辶, 성씨 원袁(낙낙하고 긴 옷)이 결합했다. 옷깃이 늘어져 있듯이 가는 길이 멀다는 데서 '멀다'를 뜻한다. 綿 : 가는실 멱糸, 비단 백帛(흰 천)이 결합했다. 흰 천을 만드는 원료(목화)라는 데서 '솜'을 뜻한다. 솜을 꼬아 실을 만든다는 데서 '이어지다'를 뜻하기도 한다. 위 구절에서는 ..

千字文 工夫 2022.06.17

(081) 치본어농治本於農 무자가색務玆稼穡

▶ 훈음訓音 治 다스릴 치 / 本 근본 본 / 於 어조사 어 / 農 농사 농 務 힘쓸 무 / 玆 이 자 / 稼 심을 가 / 穡 거둘 색 ▶ 풀이 다스림(治)의 근본(本)은 농사(農)로 하여(於) 때맞춰(玆) 심고(稼) 거둠(穡)에 힘쓰게 한다(務). ▶ 자원字源 治 : 물 수氵, 별 태台(수저를 입에 가져가는 모습 → 먹이다)가 결합했다. 물을 다스려 백성들을 먹여 살린다는 데서 '다스리다'를 뜻한다. 本 : 나무의 뿌리를 나타낸 데서 '근본'을 뜻한다. 於 : 모 방方(까마귀 오烏의 변형), 구결자 어仒가 결합했다. 까마귀가 우는 소리라는 데서 '어조사(~에, ~에서)'를 뜻한다. 農 : 굽을 곡曲(밭 전田의 변형), 별 진辰(농기구)이 결합했다. 농기구로 밭을 가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농사'를 뜻한..

千字文 工夫 2022.06.17

(080) 곤지갈석昆池碣石 거야동정鉅野洞庭

▶ 훈음訓音 昆 맏 곤 / 池 못 지 / 碣 비석 갈 / 石 돌 석 鉅 클 거 / 野 들 야 / 洞 골 동 / 庭 뜰 정 ▶ 풀이 못은 곤지(昆池), 산은 갈석(碣石)이고 늪은 거야(鉅野), 호수는 동정(洞庭)이다. ▶ 자원字源 昆 : 날 일日, 견줄比가 결합했다. 해에 견준다는 데서 '맏'를, 해가 나란히 비추는 사물이라는 데서 '많다'를 뜻한다. 池 : 물 수氵, 어조사 야也(주전자)가 결합했다. 주전자와 같이 물이 담긴 곳이라는 데서 '못'을 뜻한다. 碣 : 돌 석石, 어찌 갈曷(날 일日, 베풀 개匃)이 결합했다. 햇빛을 쬐는 높은 돌이라는 데서 '비석', '우뚝 솟은 돌' 등을 뜻한다. 石 : 언덕 아래 뒹굴고 있는 돌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돌’을 뜻한다. 鉅 : 쇠 금金, 클 거巨가 결합했다...

千字文 工夫 2022.06.17

(079) 안문자새雁門紫塞 계전적성雞田赤城

▶ 훈음訓音 鴈 기러기 안 / 門 문 문 / 紫 자줏빛 자 / 塞 변방 새, 막힐 색 雞 닭 계 / 田 밭 전 / 赤 붉을 적 / 城 재 성 ▶ 풀이 관문은 안문雁門, 성벽은 자새紫塞이고 역참은 계전雞田, 성벽은 적성赤城이다. ▶ 자원字源 雁 : 기슭 엄厂, 사람 인人, 새 추隹가 결합했다. 기러기는 음양의 이치를 따라 봄에 북녘으로 날아갔다가 가을에 다시 찾아오는 철새이므로 인간의 덕성을 갖췄으며 기러기는 언덕이나 바위 기슭에 둥지를 튼다는 데서 '기러기'를 뜻한다. 참고로 기러기는 한번 정한 배우자는 절대 바꾸지 않아 전통혼례의 상징물이다. 기러기 안鴈과 동자同字이다 門 : 두 개의 문짝을 나타낸 데서 '문'을 뜻한다. 紫 : 이 차此(사람이 멈춰 서다), 가는실 멱糸(염색의 대상 → 색)이 결합했다..

千字文 工夫 2022.06.17

(078) 악종항대嶽宗恒岱 선주운정禪主云亭

▶ 훈음訓音 嶽 큰산 악 / 宗 마루 종 / 恒 항상 항 / 岱 대산 대 禪 선 선 / 主 주인 주 / 云 이를 운 / 亭 정자 정 ▶ 풀이 오악(嶽) 중에서 항산(恒)과 대산(岱)이 으뜸(宗)이고 선(禪)은 운운산(云) 또는 정정산(亭)에서 주최했다(主). ▶ 자원字源 嶽 : 메 산山, 감옥 옥獄(개 두 마리가 서로 싸우는 모습, 옥→악)이 결합했다. 짐승들이 서식하는 수목이 울창하고 험난한 산이라는 데서 '큰 산'을 뜻한다. 반면 큰산 악岳은 嶽의 고자古字이며 바위로 가파르게 이루어진 산세가 험한 산을 말한다. 宗 : 집 면宀, 보일 시示(제물을 올리는 제단)가 결합했다. 제사를 지내는 건물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제사를 지내는 것은 장손이 한다는 데서 '마루', '제사', '일족' 등을 뜻한다. ..

千字文 工夫 2022.06.17

(077) 구주우적九州禹跡 백군진병百郡秦幷

▶ 훈음訓音 九 아홉 구 / 州 고을 주 / 禹 성씨 우 / 跡 발자취 적 百 일백 백 / 郡 고을 군 / 秦 벼이름 진 / 幷 아우를 병 ▶ 풀이 아홉(九) 주(州)는 우임금(禹)의 발자취(跡)이고 일백(百) 군(郡)은 진나라(秦)가 아우른다(幷). ▶ 자원字源 九 : 열 십十, 뚫을 곤丨이 결합했다. 10에서 1을 뺀 수를 나타낸 데서 '아홉'을 뜻한다. 州 : 내 천川, 점(하천 중간에 쌓인 모래톱)을 찍은 것이다. 본래 의미는 '모래톱'이었다. 이후 물길이 완만한 하천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이루고 생활한다는 데서 '고을'을 뜻하게 됐다. 현재는 여기에 물 수氵를 더한 섬 주洲가 '모래톱'의 뜻을 대신하고 있다. 禹 : 뱀이 똬리를 튼 모습을 나타낸 데서 '성씨 우'를 뜻한다. 우임금은 뱀을 숭배하던..

千字文 工夫 2022.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