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한자 이야기 282

孫子兵法 (10)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10) 始計篇(시계편) 將聽吾計하여 用之必勝이어든 留之하고 將不聽吾計하여 用之必敗어든 去之니라. (장청오계 용지필승 유지 장불청오계 용지필패 거지) ❏直譯 장수(將)가 나(吾의) 계책(計을) 따르면(聽) 그(之)를 임용(用)하여 반드시(必) 승리(勝) 하면 그(之)를 머물게(留)하고, (만일) 장수(將)가 나(吾)의 계책(計)을 따르지(聽) 않(不)으면, 반드시(必) 패(敗)할 것이니 그(之)를 물러나게(去) 해야 한다. ❏字解 ◦聽(청): 듣다, 결정하다, 받아 들이다, 따르다 등. 여기서는 ‘따르다’의 뜻으로 사용한다. ◦用之(용지): 여기서 之는 將帥(장수)를 가리키는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 즉 장수를 임용하다. ◦留之(유지):여기서 之도 앞의 장수를 가리키는 지시대명사(指示代名詞)로 ..

고사성어 - 庖丁解牛(포정해우)

고사성어 - 庖丁解牛(포정해우) 포:부엌 포. 丁:사내 정. 解:풀 해. 牛:소 우 포정이 소를 잡는다는 말로, 어느 분야에 기술이 매우 뛰어난 것을 가리킴. 중국 전국(戰國)시대 양(梁)나라 혜왕(惠王)이 칼잡이 명인(名人)인 포정이 일하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다. 그가 소를 잡을 때의 몸놀림과 칼놀림은 참으로 일품이었다. 빈틈 없는 손 움직임에 따라 고기가 발라지고 뼈에서 슬슬 떨어져 나간다. 그 리드미컬함이 마치 음악을 듣고 있는 것 같았다.혜왕이 감탄했다. "참으로 훌륭하군. 기술을 익히면 그 정도까지 될 수 있는 것이로군" 그러자 포정은 칼을 옆에 놓고 말했다. "제가 뜻을 두고 있는 것은 도(道)이지 기술이 아닙니다. 저도 처음 소를 잡았을 적에는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할지 몰랐습니다. 그러던 것..

孫子兵法 (9)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9) 始計篇(시계편) 七計는 主孰有道. 將孰有能. 天地孰得. 法令孰行. 兵衆孰强. 士卒孰鍊. 知勝負矣이다- 孫子兵法 (9) 始計篇(시계편) 故로 校之以計하여 而索其情이니라. 曰 主孰有道하며 將孰有能하며 天地孰得하며 法令孰行하며 兵衆孰强하며 士卒孰하며 賞罰孰明이니 吾以此로 知勝負矣니라 (고 교지이계 이색기정 왈 주숙유도 장숙유능 천지숙독 법령숙행 병중숙강 사졸숙련 상벌숙명 오이차 지승부의) ❏直譯(직역) 그러므로(故) 이를(之) (일곱 가지) 계책(計)으로써(以) 비교하여(校), 그(其) 실정(情)을 탐색해야(索)한다. 말하기를(曰) 임금(王)은 누가(熟)도(道)를 지니고(有) 있는가? 장수(將)는 누가(孰) 유능(有能)한가? 天地(천지)는 누가(孰) 얻고(得) 있는가? 법령(法令)은 누가(孰)..

孫子兵法 (8)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8) 始計篇(시계편) 凡此五者는 將莫不聞이나 知之者는 勝하고 不知者는 不勝이니라 (범차오자 장막불문 지지자 승 부지자 불승) ❏直譯 무릇(凡) 이(此) 다섯(五) 가지(者)는, 장수(將) 가 알지(聞) 못할 리가(不) 없을(莫)것이다. 그것을(之) 아는(知) 사람(者)은 (반드시) 이기고(勝), 알지(知) 못하는(不) 사람(者)은 이기지(勝) 못(不)한다. ❏字解 ◦범(凡): 무릇, 대체로 보아 등의 뜻. ◦차(此): 차는 道, 天, 地, 將, 法을 지칭한다. ◦오자(五者) 다섯 가지는. 여기서 '者'는 주격조사로 '은, 는' 등으로 해석한다. ◦막불(莫不):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중 부정으로 강력한 긍정의 뜻으로, 다 알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문(聞): 듣다, (소리가)들리다, 알다..

고사성어 - 高枕安眠(고침안면)

고사성어 - 高枕安眠(고침안면) 高:높을 고. 枕:베개 침. 安:편안할 안. 眠:잘 면. 베개를 높이 하여 편히 잘 잔다는 뜻. 곧 ① 근심 없이 편히 잘 잠. ② 안심할 수 있는 상태의 비유. 전국 시대, 소진(蘇秦)과 장의(張儀)는 종횡가(縱橫家)로서 유명한데 소진은 합종(合縱), 장의는 연형(連衡)을 주장했다. 합종이란 진(秦)나라 이외의 여섯 나라, 곧 한(韓) 위(魏) 제(齊) 초(楚)가 동맹하여 진나라에 대항하는 것이며, 연횡이란 여섯 나라가 각각 진나라와 손잡는 것이지만 실은 진나라에 복종하는 것이었다. 소진보다 악랄했던 장의는 진나라의 무력을 배경으로 이웃 나라를 압박했다. 진나라 혜문왕(惠文王) 10년(B.C. 328)에는 장의 자신이 진나라 군사를 이끌고 위나라를 침략했다. 그 후 위나..

孫子兵法 (7)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7) 始計篇(시계편) 法者는 曲制와 官道와 主用也니라. (법자 곡제 관도 주용야) ❏直譯 법(法)이란(者) 曲制(곡제: 군 편성)와 官道(관도: 규율)와 主用(주용: 군수품)의 공급과 관리 이다(也). ❏字解 ·曲制(곡제) 는 군의 編成(편성), 군대의 制度(제도), 組織(조직)등이다. 중국에서 군의 편제는 다섯 명이 오(伍), 열 명이 십(什), 50명이 대(隊), 1백 명이 곡(曲), 2백 명이 관(官), 4백 명이 부(部), 5백 명이 여(旅)로 되어 있었다. 1백 명 단위의 부대 이름인 곡(曲)자를 따서 군의 편제를 곡제(曲制)라고 부른다. ·官道(관도)는 군대의 명령 계통과 군의 規律(규율)등 이른바 服務規程(복무규정)이다. ·主用(주용)은 군에서 사용하는 軍需品(군수품)의 보급에 관..

고사성어 - 苦肉之計(고육지계)

고사성어 - 苦肉之計(고육지계) 苦:괴로울 고, 肉:고기 육, 之:어조사 지, 計:꾀할 계 제 몸을 괴롭혀가면서까지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계책 삼국시대의 周瑜(주유)는 吳(오)나라 장수로 지모가 뛰어났다. 曹操(조조)의 魏(위)나라 수군 도독인 채모와 장윤은 주유의 계략에 빠져 조조에게 참살 당했고 뒷날 조조가 가슴을 쳤을 때는 이미 엎질러진 물이었다. 조조는 오나라를 공략하기 위해 長江(장강·양자강)에 수십만 대군을 배치했다. 유명한 赤壁(적벽)대전의 서막이었다. 도저히 승산이 없다고 본 주유는 궁여지책으로 火攻(화공)작전을 세워 보았다. 주유는 노장 黃蓋(황개)와 머리를 맞대고 각본을 짰다. 거짓 항복하는 이른바 詐降計(사항계)를 쓰기로 한 것이다. 황개가 주역인 연극은 시작되었다. 작전 ..

孫子兵法 (6)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6) 始計篇(시계편) 將者는 智·信·仁·勇·嚴也니라 孫子兵法 (6) 始計篇(시계편) 將者는 智·信·仁·勇·嚴也니라. (장자는 지·신·인·용·엄야니라) ❏直譯 장수(將者)란 지혜(智)와 믿음(信)과 어짐(仁)과 용맹(勇)과 위엄(嚴)이다(也). ❏字解 ·智(지혜 지) 智는 智慧(지혜)., 判斷力(판단력)이다. 곧 풍부한 경험(經驗)으로 매사 옳게 처리하는 智略(지략)이다. ·信(믿을 신) 믿고 의지함이다. ·仁(어질 인) 어진 마음이다. 공자(孔子) 인을 극기복례(克己復禮) 즉 자기를 이겨 예를 극복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勇(날쌜 용) 씩씩하고 용감(勇敢)한 기운(氣運),百戰不屈(백전불굴)勇氣(용기)이다. ·嚴(엄할 엄) 엄정한 軍紀(군기) 확립이다. · ❏解說 장수의 다섯 가지 덕목에 하나..

고사성어 - 鷄鳴拘盜(계명구도)

고사성어 - 鷄鳴拘盜(계명구도) 鷄:닭 계. 鳴:울 명. 拘:개 구. 盜:도둑 도. 닭의 울음 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 흉내를 잘 내는 좀도둑이라는 뜻.곧 ① 선비가 배워서는 안 될 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 ② 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도 때로는 쓸모가 있음의 비유. 전국 시대 중엽,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은 왕족으로서 재상을 지낸 정곽군(靖郭君)의 40여 자녀 중 서자로 태어났으나 정곽공은 자질이 뛰어난 그를 후계자로 삼았다. 이윽고 설(薛) 땅의 영주가 된 맹상군은 선정을 베푸는 한편 널리 인재를 모음으로써 천하에 명성을 떨쳤다. 수천 명에 이르는 그의 식객 중에는 문무지사(文武之士)는 물론 '구도'(拘盜:밤에 개가죽을 둘러쓰고 인가에 숨어들어 도둑질하는 좀도둑을 말함)에 능한 자와 닭 울음소리[..

孫子兵法 (5)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5) 始計篇(시계편) 地者는 遠近과 險易와 廣狹과 死生也니라 地者는 遠近과 險易와 廣狹과 死生也니라 (지자, 원근과 험이와 광협과 사생야니라) ❏直譯 땅이란(地者) 멀고 가까움(遠近)과 (지형의) 험하고(險) 평탄함(易)과 넓고(廣) 좁읍(狹)에 따라 죽을(死) 땅인가, 살(生) 땅인가에 대한 판단이다. ❏字解 ·遠近(원근) 멀고 가까움, 먼 데 사람과 가까운 데 사람, 또는, 먼 곳과 가까운 곳 ·險易(험이) 지형(地形)의 험난(險難)함과 평탄(平坦)함 ·廣狹(광협) 넓음과 좁음. 폭(幅) ·死生(사생) 사(死)는 활로(活路)가 없는 지극히 불리한 지형, 생(生)은 평탄(平坦)하여 활로(活路)가 있는 유리한 지형 ·也(야) 어조사, 여기서는 마침표의 역할을 하는 語助詞이다. ❏解說 지형(地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