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한자 이야기 282

史記列傳 故事(83)枯木朽株[고목후주]

史記列傳 故事(83)枯木朽株[고목후주] □《사기》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枯:마를 고 木:나무 목 朽:썩을 후 株:그루 주 □풀이: 마른 나무와 썩은 등걸이 쓰이지 못하는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하는 말이다. 자신을 낮추어 겸손하게 표현할 때 쓰는 말. □구조: 枯↪木, 朽↪株 •枯↪木(고목): 말라서 죽어 버린 나무 -枯(마를 고) 나무가 말라 죽은 것(관형사) -木(나무 목) 나무, 재료로 사용하는 재목(명사 체언) •朽↪株(후주): 썩은 등걸이 -朽(썩을 후) 썩은 등걸이. 부패되어 가치가 없는 것(관형사) -株(그루 주) 그루, 나무의 아랫동아리(명사 체언) □유래: 고주후목(枯株朽木)이라고도 한다. 마른 나무와 썩은 등걸과 같이 쓰이지 못하는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하는 데 사용된다. 또는 ..

오늘의 古典名言

吾與富貴而詘於人이언정 寧貧賤而輕世肆志焉하노라 ♧독음 : 오여부귀이굴어인이언정 영빈천이경세사지언하노라 ♧번역 : 부귀하면서도 남에게 얽매어 사느니 차라리 빈천할지언정 세상을 가볍게 여기며 내 뜻대로 살겠노라. ♧출전 : ≪사기(史記)≫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자해 吾 나 오 與 더불 여; 줄 여 富 부자 부 貴 귀할 귀 而 말이을 이 詘 말막힐 굴, 내칠 출 於 어조사 어, 탄식할 오 人 사람 인 寧 편안 녕 貧 가난할 빈 賤 천할 천 而 말이을 이 輕 가벼울 경 世 인간 세 肆 방자할/베풀 사 志 뜻 지 焉 어찌 언

史記列傳 故事(82)明珠闇投[명주암투]

史記列傳 故事(82)明珠闇投[명주암투] ❏《사기》 〈노중련추양(魯仲連鄒陽)열전〉 明: 밝을 명 珠: 구슬 주 闇: 어두울 암 投:던질 투) ❏풀이: 빛나는 구슬을 어두운 데 던진다는 뜻 1. 지극히 귀한 보물도 남에게 예를 갖추어 주지 아니하면 도리어 원한을 삼. 2. 남을 도울 때도 방법이 나쁘면 도리어 원망을 사게 됨. ❏구조: 明↪珠∥ 闇↪投 직역: 밝은 구슬이 어두운 곳에 던져지다. •明珠(명주): 밝나는 구슬(주어) 추양 자신 -明(밝을 명) 빛이 반사되어 반짝거리거나 윤이 나다. 영광스럽고 훌륭하여 돋보이다. -珠(구슬 주) 옥구슬. 아름답거나 귀중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闇↪投(암투) 어두운 곳에 던지다.(효왕이 추양의 인물됨을 몰라보고 감옥에 가둠) -闇(어두울 암) 빛이 없어 밝..

史記列傳 故事(81)白頭如新[백두여신]

史記列傳 故事(81)白頭如新[백두여신] ?《사기》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白:흰 백 頭:머리 두 如:같을 여 新:새로울 신 ?풀이: 흰머리가 새것과 같다. 머리가 희어질 때까지 교제하더라도 마음이 안 통하면 새로 사귀기 시작한 사람과 마찬가지라는 뜻이다. ?구조: 白頭∥如/新 •白頭(흰 백/ 머리 두): ‘흰머리’ •如/新(여신): 새로움과 같다 -如(같을 여) ‘같다’(비교 형용술어) -新(새 신) 새로움. 새로 사귄 조금은 어색한 친구를 말한다(보어 간접목적어) ?유래 전한(前漢) 초기에 추양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양(梁)나라에서 무고하게 사형선고를 받았다. 왕에게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글을 올렸다. 주된 요지는 여러 예를 들면서 사람이 사람을 아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었다. 추..

史記列傳 故事(81)白頭如新[백두여신]

史記列傳 故事(81)白頭如新[백두여신] ?《사기》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白:흰 백 頭:머리 두 如:같을 여 新:새로울 신 ?풀이: 흰머리가 새것과 같다. 머리가 희어질 때까지 교제하더라도 마음이 안 통하면 새로 사귀기 시작한 사람과 마찬가지라는 뜻이다. ?구조: 白頭∥如/新 •白頭(흰 백/ 머리 두): ‘흰머리’ •如/新(여신): 새로움과 같다 -如(같을 여) ‘같다’(비교 형용술어) -新(새 신) 새로움. 새로 사귄 조금은 어색한 친구를 말한다(보어 간접목적어) ?유래 전한(前漢) 초기에 추양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양(梁)나라에서 무고하게 사형선고를 받았다. 왕에게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글을 올렸다. 주된 요지는 여러 예를 들면서 사람이 사람을 아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었다. 추..

史記列傳 故事(80)排難解紛[배난해분]

史記列傳 故事(80)排難解紛[배난해분] ❏《전국책》 〈조책(趙策)〉 《사기》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排 : 밀칠 배 難 : 어려울 난 解 : 풀 해 紛 : 어지러워질 분 ❏풀이: 어려움을 물리치고 분란을 해결함 위난(危難)을 물리치고 분규를 해결해 주다. 남의 어려움이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을 말한다. ❏구조: 排∣難 解∣紛 •排∣難(배난): 어려움을 물리치다. -排(밀칠 배) ‘물리치다’극복하거나 치워 없애 버리다. (동사술어) -難(어려울 난) ‘어려움을’ 곤란한 사건을 말한다.(목적어) •解∣紛(해분): 분란을 해결하다 -解(풀 해) ‘해결하다’얽힌 일을 잘 처리함(동사술어) -紛(어지러울 분) ‘분란’어수선하고 소란스러운 형세(목적어) ❏유래 '배환해분(排患解紛-근심을 물리치고 분란을..

孫子兵法 (13)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13) 始計篇(시계편) 兵者는 詭道也니라 兵者는 詭道也니라 (병자 궤도야) ❏直解 병(兵)이란(者) 속이는(詭) 방법(道) 이다(也) ❏字解 ◦兵(병) 병사(兵士), 무기(武器), 병기(兵器), 싸움, 전쟁(戰爭) 등. 여기서는 ‘작전’과 관련한 뜻. ◦詭(궤): 속이다, 꾸짖다, 어기다(지키지 아니하고 거스르다)등.여기서는 속임수. ◦道(도): 길, 도리(道理), 이치(理致), 재주,방법(方法), 술책(術策)등. 여기서는 방법이이나 술책. ◦也(야): 어조사 야, 마침표의 역할을 하는 어조사(語助辭) ~이다. ◦詭道(궤도): 속이는 방법, 술책. ❏解說 손자는 전쟁은 국민의 생사와 국가의 존망이 달려있기 때문에 전쟁은 수단과 방법 즉 필연적으로 속임수를 쓰는 것을 부끄워하하지 않고 전생에서 ..

孫子兵法 (12)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12) 始計篇(시계편) 勢者는 因利而制權也니라. 勢者는 因利而制權也니라. (세자 인리이제권야) ❏直譯(직역) 세(勢) 는(者) 이(利)로 인(因)하여 서(而) 권(權)을 제어(制)하는 것이다(也). ❏字解 ◦權(권): 권세(權勢), 권력(權力), 유리한 형세(形勢), 저울, 저울추(錘), 방편(方便), 임기응변(臨機應變)등 곧 사물의 경중을 저울 하는 일. ◦制權(제권): 임기응변의 조치를 취하는 것. 먼저 적을 공격하거나 적보다 유리한 위치에 先制(선제)할 수 있는 권한, ❏解說) 세(勢)라는 것은 여러 가지 변화(變化)되는 형세(形勢)를 따라 임기응변(臨機應變)으로 상응(相應)하는 조치(措置)를 취(取)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전술(戰術)이나 다른 교묘(巧妙)한 권변(權變)의 유리한 방도를 ..

孫子兵法 (11) 始計篇(시계편)

孫子兵法 (11) 始計篇(시계편) 計利以聽이어든 乃爲之勢하여 以佐其外라 孫子兵法 (11) 始計篇(시계편) 計利以聽이어든 乃爲之勢하여 以佐其外라 (계리이청 내위지세 이좌기외) ❏直譯(직역) 이익(利)을 계산(計)하여 이로써(以) 들는다면(聽), 이것이(之) 곧(乃) 형세(勢)를 (유리하게) 하여(爲), 이로써(以) 그(其) 밖(外)의 것을 도울(佐) 것이다. ❏字解 ◦計利(계리) 나의 계략을 이롭게 여기다. ◦佐(좌) ‘돕다’의 뜻 ◦爲之勢(위지세) 여기서 위(爲)는 만들다, 되다 등의 뜻. ❏解說 형세(形勢)가 이롭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병력이 적(敵)보다 강하더라도 전쟁을 하는 입장(立場)이 불리(不利)하다든가 외부의 형세가 불리하면 전쟁에 승리(勝利)할 수가 없다. 만일 주변의 형세가 불리한..

고사성어 - 風樹之嘆(풍수지탄)

고사성어 - 風樹之嘆(풍수지탄) 風:바람 풍, 樹:나무 수, 之:어조사 지, 嘆:탄식할 탄 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란 말로, 효도를 다 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 나무는 조용하고자 하지만 불어오는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는 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에서 타온 말로 부모가 살아 있을 때 효도하지 않으면 뒤에 한탄하게 된다는 말이다. 공자가 자기의 뜻을 펴기 위해 이 나라 저 나라로 떠돌고 있을 때였다. 그날도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몹시 슬피 우는 소리가 공자의 귀에 들려왔다. 울음소리를 따라가 보니 곡성의 장본인은 皐魚(고어)라는 사람이었다. 공자가 우는 까닭을 물어보았다. 울음을 그친 고어가 입을 열었다. "저에게는 세가지 한(恨)이 되는 일이 있습니다. 첫째는 공부를 한답시고 집을 떠났다가 고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