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속의 삶의 智慧 181

古典名文(22)

謂學不暇者는 雖暇라도 亦不能學矣니라. [독음] 위학불가자 수가 역불능학의 [출전] 회남자(淮南子)-설산훈편(說山訓篇) [해석] 배움에 겨를(틈)이 없다고 이르는 자는 비록 겨를(틈)이 있을지라도 또한 능히 배우지 않을 것이다. □字義 •謂(이를 위) 이르다. 말하는 자. •學(배울 학) 배우다. 공부하다. •暇(겨를 가) 틈이 있는 날 •雖(비록 수) 비록 ~라 하더라도 •亦(또 역) 그럼에도 불구하고 •矣(어조사 의) ‘~이다’ 평서문에서 상황을 마무리 하는 종결사. ▶ [어구풀이] •謂學不暇者(위학불가자) 배움에 겨를이 없다고 이르는 자라는 뜻으로, 학문의 자세가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근본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주변 요소에 대해 핑계와 전가를 시키는 것이라는 의미다. •雖暇 亦不能學矣(수가 역불능..

古典名文(21)

一犬吠形이면 百犬吠聲이니라 [독음] 일견폐형 백견폐성 [출전] 잠부론(潛夫論)-현난편(賢難篇) [해석] 한 마리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으면 모든 개들이 그 소리에 따라 짖는다. (근거 없는 소문에 대해 사람들이 사실인 양 따라서 떠들어대는 것을 비유) □字義 •犬(개 견) 집 지키는 개 •吠(짖을 폐) 개가 짖는다는 의미이고, •形(형상 형) '形'은 그림자 영(影)의 의미 •百(일백 백) 한문 문장에서 '백', '천', '만' 등의 숫자는 모두 '많다', '모든 것' 의미 •聲(소리 성) 소리를 내다 ▶ [어구풀이] •吠形(폐형) 개가 헛된 그림자를 보고 짖는다는 의미 •吠聲(폐성) 소리만 듣고 따라서 짖는다는 의미. ▣도움말: 자신의 바른 주관이 있어야 한다. ※근거 없는 소문에 현혹되어 남을 따라하..

古典名文(20)

至樂은 莫如讀書요 至要은 莫如敎子니라. [독음]지락막여독서 지요막여교자 [출전] 명심보감(明心寶鑑)-훈자편(訓子篇) [해석] 지극한 즐거움은 독서만한 것이 없고, 지극한 요체는(지극히 긴요한 것은) 자식 가르치는 것만 한 것이 없다. □字義 •至(지극할 지) ‘지극히’는 부사다. 명사나, 술어 앞에서 한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莫(없을 막) 없다의 부정사다. •讀(읽을 독/구절 두) 책을 읽다. •要(요긴할 요) 꼭 필요하고 중요하다. 여기서 명사로 쓰였다. •敎(가르칠 교) 지식이나 기능, 이치를 깨닫게 하거나 익히게 하다. ▶ [어구풀이] •莫如(막여) ‘~만한 것이 없다’ (직역하면, ~와 같은 것이 없다) •至樂(지락) 지극한 즐거움 •莫如讀書(막여독서) 독서만한 것이 없고 •至要(지요) 지극히 ..

古典名文(19)

子曰 不患人之不己知요 患不知人也니라. [독음]자왈 불환인지부기지, 환부지인야 [출전] 논어(論語)-학이편(學而篇) [해석]공자가 말하기를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근심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하는 것을 근심하라. □字義 •患(근심 환) 해결되지 않은 일 때문에 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人(사람 인) 한문 구절에서는 '人'을 두 가지로 해석해야 함. 일반적인 인간의 의미인 '사람'과 내가 아닌 타인의 의미인 '남'. 여기서는 '남'의 의미 •之(갈 지) 여기서는 주어의 뒤에 붙은 접미사다. 人之(인지)사람들이 •也(잇기 야) 평서문종결사로 ‘~이다’ 실제의 상황 ▶ [어구풀이] •不患(불환) 근심하지 말라. 不은 금지의 의미 不己知(부기지)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다.'는 '원래 不知己(부..

古典名文(18)

靑取之於藍이 而靑於藍이라. [독음] 청취지어람 이청어람 [출전] 순자(荀子)- [해석]청색은 쪽(남색)에서 취했으나 쪽(남색)보다 푸르다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字義 •靑(푸를 청) 남색은 푸른빛을 띤 자주색이다. •取(취할 취) 조건에 맞는 것을 골라 가지다. •之(갈 지/어조사 지) ‘그것을’ 청(靑)을 가리키는 목적어이다. •於(어조사 어)靑取之於藍 於는 ‘~에서’ 처소격전치사이다. •於(어조사 어)靑於藍 於는 ‘보다’ 비교전치사다. •藍(쪽 람) 진한 푸른빛이다. 쪽풀로 중국에서 염료로 쓰였다. •而(말이을 이) 역접접속사다. ‘그러나’ ▶ [어구풀이] •靑取之於藍(청취지어람) 근본에서 취함-스승이 제자를 가르침 •靑於藍(청어람) 근본을 능가하는 일-제자..

古典名文(17)

己所不欲을 勿施於人하라. [독음]기소불욕 물시어인 [출전]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해석] 자기가 하기 싫은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 □字義 •所(바 소) ‘바’는 일의 방법이나 방도이다. •欲(하고자할 욕) 행위로 실현하다 •勿(말 물) 금지사로 ‘하지 말라’ •施(베풀 시) 시키다. 받아 누리게 하다. •於(어조사 어) ‘~에게’ 어떤 행동이 미치는 대상을 나타내는 격 조사. ▶ [어구풀이] •所不欲(소불욕) ‘하고 싶지 않는 바’ 하기 싫은 것이다. ▣도움말: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은 당연히 다른 사람도 싫어할 것이기 때문에 내가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남에게 말과 행동을 함에 앞서서, 무엇보다 상대를 먼저 생각하고 배려하는 마음과 자세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

古典名文(16)

福은 生於淸儉하고 德은 生於卑退니라. [독음] 복생어청검 덕생어비퇴 [출전] 한비자(韓非子)/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 [해석] 복(福)은 청렴하고 검소한 데서 생기고, 덕(德)은 자신을 낮추고 물러나는 데서 생긴다. □字義 •福(복 복) 삶에서 누리는 좋고 만족할 만한 행운과 행복 •生(날 생) 나오다. •於(어조사 어) ‘~에서’ 처소격 전치사(주어+서술어+於+보어) •淸(맑을 청) 청렴하다. 성품과 행실이 높고 맑으며, 탐욕이 없다. •儉(검소할 검) 검소하다. 사치하지 않고 꾸밈없이 수수하다. •德(덕 덕) 어질고 너그러운 행실 •卑(낮을 비) 낮추다. 여기서는 겸손하다. •退(물러날 퇴) 물러나다. 여기서는 겸양하고 사양하다. ▶ [어구풀이] •生於(생어) ~에서(~로부터) 생기다. •..

古典名文(15)

破山中賊은 易요 破心中賊은 難이라. [독음]파산중적이 파심중적난 [출전] 양명전서(陽明全書) 왕수인 [해석] 산속의 도적은 무찌르기 쉬우나 마음 속의 도적을 무찌르기는 어렵다. □字義 •破(깨뜨릴 파) 부수다. 격파하다. •賊(도둑 적) 흉기를 든 도적 •易(쉬울 이) 쉽다. 쉬운 일이다. •難(어려울 난) 하기가 까다로워 힘에 겹다. ▶ [어구풀이] •山中賊(산중적) 산 속에 활동하는 도적 •心中賊(심중적) 사사로운 욕망, 남을 미워하는 마음, 이기심 등 제 마음속의 온갖 나쁜 마음 ▣도움말: 중국 명나라 때 양명학으로 이름을 떨친 왕수인(王守仁)의 문집 양명전서(文集 陽明全書)에 나오는 말이다. ※자기 마음속에 있는 사욕(私慾)을 없애기는 어렵다. 자기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는 정신적인 수양의 어려움을..

古典名文(14)

子는 不談父之過 하고 父는 不言子之德 이라. [독음] 자부담부지과 부불언자지덕 [출전] 명심보감(明心寶鑑) 준례편(遵禮篇) [해석] 자식은 아버지의 허물을 말하지 않고 아버지는 아들의 덕을 말하지 말아야 한다. □字義 •子(아들 자) 여기서는 효자다운 사람이다. •談(말씀 담) 여러 사람에게 말하는 것이다. •之(갈 지) ‘~의’ 앞의 부(父)를 관형어로 뒤의 과(過)가 행동의 주체가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過(허물 과) 잘못 저지른 실수를 말한다. •言(말씀 언) 내가 다른사람에게 말하는 것이다. •德(덕 덕) 여기서는 능력이 출중함이다. ▶ [어구풀이] •不談(부담)말하지 않음./不言(불언)말하지 않음. •父之過(부지과) 아버지의 잘못. ▣도움말: 자식은 부모의 허물을 말하지 않는 것이 효이고 부..

古典名文(13)

良藥은 苦於口나 而利於病이요 忠言은 逆於耳나 而利於行이라.(孔子家語) [독음] 양약고어구이이어병, 충언역어이이이어행. [출전] 공자가어(孔子家語)-[육본편(六本篇)] [해석]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 이롭고, 충성된 말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하는데 이롭다. □자의(字義) •良(어질 량) 좋다. •藥(약 약) 병을 고치는 약 •苦(쓸 고) 씀바귀처럼 입에 쓰다. •於(어조사 어) ‘~에’ 처소격전치사 (입에, 귀에) •而(말이을 이) ‘~지만’ 역접으로 쓰인다. 앞글과 뒷글이 상반됨 •利(이로울 리) 이익이 있다. •逆(거스를 역) 상황이나 흐름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 [어구풀이] •良藥(양약) 좋은 약. 약효가 좋아 병을 잘 치유할 수 있는 약 •忠言(충언) 자기의 진심을 다하는 충고의 말 •逆於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