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속의 삶의 智慧 181

古典名文(84)

過而不改 是謂過矣니라 [독음] 과이불개 시위과의 [출전] 논어(論語)-위령공편(衛靈公篇) [해석] 허물이 있어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이 허물이다. □字義 •過(지날 과) 허물. 잘못된 점 •而(말이을 이) 승접접속사. 앞말을 뒷말로 이어줌 •改(고칠 개) 잘못되거나 틀린 것을 바로잡다. •是(이 시) 지시대명사로 ‘이것이’ •謂(이를 위) ‘~이라고 이른다’ •矣(어조사 의) ‘~이다’ 어떤상태의 종결사다. ▶ [어구풀이] •過而不改(과이불개)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고치지 않은 것 •是謂過矣(시위과의) 이것이 잘못된 것이다. ▣도움말: 자신의 행동이나 언동으로 인한 실수를 범하거든 곧 바로 고쳐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허물이 있게 마련이며, 그 허물을 하나하나 고쳐나가 허물을 없게 하는 일이 도리라는..

古典名文(83)

君子之交는 淡若水요 小人之交는 甘若醴라 [독음]군자지교담약수 소인지교담약례 [출전] 장자(莊子)-山木(산목) 5장 [해석] 군자의 사귐은 담백하기가 물과 같고 소인의 사귐은 달콤하기가 단술 같다. □字義 •淡(맑을 담) 맑다 •若(만약 약) 같다 •甘(달 감) 달콤하다 •醴(단술 례) 단술. 감주 ▶ [어구풀이] •君子之交 淡若水(군자지교담약수) 군자의 사귐은 물을 마시는 것처럼 담박하기 때문에 영구히 변하지 않는다. •小人之交는 甘若醴(소인지교담약례) 소인의 교제는 달기가 단술과 같아서 이로울 때는 절친하여 말이 달콤하지만 불리할 때는 냉정하게 돌아선다. ▣도움말: 군자는 담담해서 교제가 성취되고, 소인은 달아서 교제가 파괴된다. ※이상적 도덕을 갖춘 군자는 세상의 이해와 관계없이 사귀므로 물맛처럼 담..

古典名文(82)

權然後에 知輕重하고 度然後에 知短長이라 [독음] 권연후 지경중 탁연후 지단장 [출전] 맹자(孟子)-양혜왕 상〉제7장 [해석] 저울질한 뒤에 경중을 알 수 있고 재어본 뒤에 장단을 알 수 있다. □字義 •權(권세권/저울질할 권) 무게를 재다. 저울질하다 •輕(가벼울 경) 중량이 가벼움 •重(무거울 중) 중량이 무거움 •度(헤아릴 탁) 길이를 재다. ▶ [어구풀이] •權(권)은 秤錘(칭추) 즉 저울추를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저울질한다는 뜻의 동사로 품사가 바뀌었다. •然後(연후) 그러한 뒤 •度然後(탁연후)의 度(탁)도 본래 丈尺(장척)을 가리키지만, 여기서는 길이를 잰다는 뜻의 동사로 품사가 바뀌었다. ▣도움말: 자기 마음을 돌아보라 ※원문의 유래: 제나라 宣王(선왕)은 釁鐘(흔종: 종에 피를 바름)에 끌..

古典名文(81)

樂易者는 常壽長하고 憂險者는 常夭折이라 [독음] 낙이자 상장수 우험자 상요절 [출전] 순자(荀子) [해석] 마음이 즐겁고 편안한 자는 장수하고 근심하고 어렵게 살려는 자는 언제나 요절 한다. □字義 •樂(즐거울 락) 즐겁다 •易(쉬울 이) 여기서는 “편안하다”로 쓰임 •常(항상 상) 언제나 변함없이 •壽(목숨 수) 수명 •長(긴 장) 장수하다 •憂(근심 우) 우울하다 •險(험할 험) 삶이 험하다 •夭(일찍죽을 요) 젊어서 일찍 죽다 •折(꺽을 절) 삶이 꺽어짐 ▶ [어구풀이] •樂易者(낙이자) 즐거운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 •憂險者(우험자) 항상 불만과 고민에 쌓인 사람 ▣도움말: 정신건강의 중요성. 평안하고 순리에 순응하는 삶 ※사람은 누구나 건강하게 아름다움을 간직하며 오래 살기를 바란다. 평균수명이..

古典名文(80)

口舌者는 禍患之門이요 滅身之斧也니라 [독음] 구설자 화환지문 멸신지부야 [출전] 명심보감(明心寶鑑)-언어편(言語篇) [해석] 입과 혀는 재앙과 근심의 문이요. 몸을 망치는 도끼이니라 □字義 •舌(혀 설) 입으로 말하다 •者(사람 자) ‘~것은’ •禍(재앙 화) 뜻하지 아니하게 생긴 불행한 변고 •患(근심 환) 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함 •之(갈 지) ‘~의’ 관형격조사 •滅(멸할 멸) 망하여 죄다 없어지다 •身(몸 신) 자신의 몸 •斧(도끼 부) 도끼로 찍다 •也(잇기 야) ‘~이다’ 평서문의 종결사 ▶ [어구풀이] •口舌者(구설자) 입과 혀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말을 항상 조심하라는 뜻 ▣도움말: 말의 신중함 ※상대방에 대한 배려의 모습이 다소 미흡한 우리의 현실 속에서는 의사표현의 신중함이 중요하다. ..

古典名文(79)

近墨者黑이요 近朱者赤니라 [독음] 근묵자흑 근주자적 [출전] 사자소학(四字小學)/묵자(墨子) [해석] 먹을 가까이 하면 검게 되고 주사를 가까이 하면 붉게 된다. □字義 •近(가까울 근) 항상 가깝게 있다. •墨(먹 묵) 검은 물감 •者(사람 자) 여기서는 ‘~면’(접속사) •黑(검을 흑) 숯이나 먹의 빛깔과 같이 어둡고 짙다. •朱(붉을 주) 붉다. 朱沙(주사)붉은 도장인주의 원료 •赤(붉을 적) 붉게 됨 ▶ [어구풀이] •近墨者黑(근묵자흑)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은 물이 든다 •近朱者赤(근주자적) 붉은 주사를 가까이 하는 사람은 붉은 물이 든다. ▣도움말: 사람은 환경에 따라 물들기 쉽다는 뜻 ※누구와 관계를 맺는지에 따라 내가 달라진다. 사람은 늘 가까이 하는 사람에 따라 그 영향을 받으니 조..

古典名文(78)

正基本이면 萬事理라 [독음] 정기본 만사리 [출전] 후한서(後漢書) [해석] 기본이 바로서면 만사가 순리대로 된다. □字義 •正(바를 정) 올바르고 정직하다 •基(터 기) 기초. 근본 •本(근본 본) 근본. 근원 •理(다스릴 리) 올바른 이치 ▶ [어구풀이] •正基本(정기본) 기초와 근본이 바르면 •萬事理(만사리) 온갖 일이 순리대로 된다. ▣도움말: 맡은바 직무의 근본에 충실하면 성과는 당연히 따라온다. ※그 근본을 바르게 해야(正其本) 모든 일이 잘 풀린다(萬事理)는 뜻이다

古典名文(77)

功者는 難成而易敗요 時者는 難得而易失이라 [독음] 공자 난성이이패 시자 난득이이실 [출전] 사기(史記) [해석] 공(功名)이란 이루기는 어려우니 실패하긴 쉽고 때(機會)란 얻기는 어려우나 잃기는 쉽다. □字義 •功(공 공) 공을 세워서 자기의 이름을 널리 드러냄 •者(사람 자) ‘~이란 것은’ •難(어려울 난) 겪게 되는 곤란이나 시련이 많다. •而(말이을 이) 역접접속사 ‘지만’ •易(쉬울 이) 쉽다 •敗(패할 패) 실패.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되지 않음 •時(때 시) 기회 •得(얻을 득) 찾아서 가지다 •失(잃을 실) 없어지다 ▶ [어구풀이] •功者(공자) 공명(功名)이란 것은 •難成而易敗(난성이이패) 역접구문이다. 이루기는 어렵지만 실패하기는 쉽다. •時者(시자) 기회(機會)라는 것은 ▣도움말:..

古典名文(76)

花有重開日이나 人無更少年이라 [독음] 화유중개일 인무갱소년 [출전] 추구(推句)-임관(林寬) 당(唐)나라 少年行(소년행)중에서 [해석]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사람은 다시 소년이 될 수 없느니라. □字義 •重(무거울 중) 거듭하여 •開(열 개) 꽃이 피다 •更(다시 갱) 다시 ▶ [어구풀이] •花有重開日(화유중개일)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重開日 거듭 피는 날(내년에 다시 핌) •人無更少年(인무갱소년) 사람은 다시 소년이 될 수 없느니라. 사람은 다시 젊어질 수 없다. ▣도움말: 꽃은 다시 필 수 있지만, 사람은 다시 젊은 날로 돌아갈 수 없느니라. 그러므로 하루하루를 보람있게 보내야 할 것이다.

古典名文(75)

君子는 以文會友하고 以友輔仁하라 [독음]군자 이문회우 이우보인 [출전] 논어(論語)-안연편(顔淵篇) [해석] 군자는 학문으로 벗을 모으고, 벗으로써 인을 돕는다. □字義 •以(써 이) ‘~로써’ 수단과 방법의 전치사 •文(글월 문) 학문 •輔(도울 보) 돕다 ▶ [어구풀이] •以文會友(이문회우) 학문을 통하여 벗을 모은다는 뜻으로, 세속의 이익이나 재화를 바탕으로 한 이해관계가 아닌 학문이라는 매계를 통해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그런 진정한 벗을 만들고 관계를 이어가야 한다는 의미 •以友輔仁(이우보인) 벗을 통하여 자신의 부족한 어짊을 보탠다는 뜻으로, 사회 속에서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영위하는 바탕에는 타인과의 건설적인 관계 속에서 긍정적인 자신의 삶이 축적되는 것이고, 훌륭한 인격과 덕성 역시 올바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