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속의 삶의 智慧 181

古典속의 삶의 智慧-古典名文(118)

邦有道엔 貧且賤焉이 恥也요 邦無道엔 富且貴焉이 恥也니라 [독음] 방유도 빈차천언 치야 방무도 부차귀언 치야 [출전] 논어(論語) 태백편(泰伯篇) [해석]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가난하고 또 천함이 부끄러움이며,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부유하고 또 귀함이 부끄러움이니라. □字義 •邦(나라 방) 나라 •貧(가난할 비)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못함 •且(또 차) ‘그리고’ 而와 같이 순접접속사로 쓰인다. •賤(천할 천) 지체, 지위 따위가 낮다. •焉(어찌 언) 於之의 준말로 쓰임 ‘그에’ 邦有道를 나타낸다. •恥(부끄러울 치) 양심에 거리끼어 볼 낯이 없거나 매우 떳떳하지 못하다. •也(잇기 야) ‘~이다’ 평서문종결사 •富(부유할 부) 재산이 넉넉하고 많다 •貴(귀할 귀) 신분, 지위 따위가 높다. ▶ [..

古典속의 삶의 智慧-古典名文(117)

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하라 [독음]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출전] 논어(論語)-위영공편(衛靈公篇) 27장(章) [해석] 여러 사람들이 그를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며, 여러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字義 •衆(무리 중) 여러 사람들 •惡(악할 악/미워할 오) 싫어하다 •之(갈 지) ‘그를’ 지시대명사로 목적어로 쓰임 •必(반드시 필) 틀림없이 꼭 •察(살필 찰) 신중히 살피다 •焉(어찌 언) (於之)의 준말로 쓰이며 ‘그에’(그사람에 대해서) •好(좋아할 호) 좋아하다 ▶ [어구풀이] •衆惡之 必察焉(중오지 필찰언) 여러 사람들이 그를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살펴보며. 惡는 ‘오’로 읽는다. 必察焉은 혹 오해의 소지가 있나를 살펴보는 것이다. •衆好之 必..

古典속의 삶의 智慧-古典名文(116)

人之過失은 多由言語니 言必忠信하고 發必以時니라 [독음]인지과실 다유언어 언필충신 발필이시 [출전] 율곡전서(栗谷全書) [해석] 사람의 과실은 대부분 언어에서 말미암이니 (이유가 되니)말은 반드시 진실되고 믿음있게 하고, 말을 할 때에는 반드시 때에 맞게 하라. □字義 •之(어조사 지) ‘~의’ 관형격조사 •過(허물 과) 잘못, 허물 •多(많을 다) 대부분 •由(말미암을 유)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 •忠(충성 충) 정성스럽다(精誠) •信(믿을 신) 믿음성있고 성실하다(誠實) •發(필 발) 드러내다 •以(써 이) ‘~에’ 여기서는 시간전치사다. •時(때 시) 상황에 맞게 ▶ [어구풀이] •忠信(충신) 원래 뜻은 ‘충성과 신의’ 이나 여기서는 ‘정성과 믿음’으로 쓰인다. •以時(이시) ‘상황에 맞게’ ▣도움말..

古典속의 삶의 智慧-古典名文(115)

施恩이어든 勿求報하고 與人이어든 勿追悔하라 [독음] 시은 물구보 여인 물추회 [출전] 명심보감(明心寶鑑) [해석] 은혜를 베풀었거든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나중에 후회하지 마라. □字義 •施(베풀 시) 남에게 베풀다 •恩(은혜 은) 고맙게 베풀어 주는 신세나 혜택 •勿(말 물) ‘말라’ 금지사 •求(구할 구) 상대편이 어떻게 하여 주기를 청하다 •報(갚을 보) 남에게 빌리거나 꾼 것을 도로 돌려주다. •與(줄 여) 주다 •追(좇을 추) 여기서는 求(구할 구)와 같다. •悔 후회하다 ▶ [어구풀이] •施恩(시은) 은혜를 베풀다. •求報(구보) 보답을 구하다. •與人(여인) 남에게 주다. •追悔(추회) 나중에 후회함. ▣도움말: 무엇을 바라고 은혜를 베푼다면 그 가치는 그만큼 줄어들 것이다. ..

古典名文(114)

養心은 莫善於寡欲이라 [독음] 양심 막선어과욕 [출전] 맹자(孟子) [해석] 마음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는 욕심을 적게 갖는 것보다 좋은 방법이 없다 □字義 •於(어조사 어) ‘~보다’ 비교전치사로 쓰임 •寡(적을 과) 수량이 적다. •欲(하고자할 욕) 욕심 욕(慾)의 뜻 ▶ [어구풀이] •養心(양심) 자기의 행위에 대하여 옳고 그름과 선과 악의 판단을 내리는 도덕적 의식 •莫善(막선) 좋은 것이 없다. •於寡欲(어과욕) 과욕보다 ▣도움말: 욕심을 줄인 만큼 행복은 커진다. ※예로부터 욕심을 줄여야 한다는 의미의 '과욕(寡欲)'이 인생의 중요한 화두이자 철학으로 여겨졌다. 마음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욕심을 적게 갖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는 뜻이다. 과욕과 상반되는 말이 '다욕(多欲)'이다 욕심이..

古典名文(113)

無一念之不實하고 無一言之不實이면 則 表裏一於誠也니라 [독음] 무일년지부실 무일언지부실 즉 표리일어성야 차건불식저공부 [출전]속해동소학(續海東小學)-정수몽(鄭守夢) : 1563~1625. 조선 광해군 때의 성리학자. 이름은 엽(曄). 자는 시회(時悔). 수몽은 그의 별호. 이이(李珥)ㆍ성혼(成渾)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해석] 한 가지의 생각도 부실한 것이 없고, 한 마디의 말도 부실한 것이 없으면, 겉과 속이 한결같이 성실할 것이다. □字義 •念(생각 념) 생각 •表(겉 표) 외부로 노출되는 행동 •裏(속 리) 속마음 •一(한 일) 한결같이 •於(어조사 어) ‘~에’ (於誠)성실함에 ▶ [어구풀이] •一念(일념) 한결같은 마음. 또는 오직 한 가지 생각. •無 ∼ 不 이중부정. 긍정을 나타낸다. •無..

古典名文(112)

少年讀書는 如隙中窺月이요 中年讀書는 如庭中望月이요 老年讀書는 如臺上玩月이라 [독음] 소년독서 여극중규월 중년독서 여정중망월 노년독서 여대상완월 [출전] 잠언집(箴言集). 중국 청나라 문필가 장조(張潮)가 독서에 대해 유몽영(幽夢影)에게 말함 [해석] 소년 시절의 독서는 구름의 틈새로 달을 보는 것과 같고, 중년의 독서는 뜰 가운데서 달을 바라보는 것과 같으며, 노년의 독서는 누각위에서 달을 구경하는 것과 같다고 했다. □字義 •如(같을 여) ‘~와 같다’ 비교를 나타냄 •隙(틈 극) 틈새, 간극. 벌어져 사이가 난 자리 •窺(엿볼 규) 좁은 틈 따위로 바라보다. •庭(뜰 정) 집 안의 앞뒤나 좌우로 가까이 딸려 있는 빈터 •望(바랄 망) 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臺(대 대) 높고 평평한 건축물 =누대(..

古典名文(111)

物有本末하고 事有終始하니 知所先後면 則近道矣리라 [독음] 물유본말 사유종시 지소선후 즉근도의 [출전] 대학(大學) [해석] 만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고 일에는 마침과 시작함이 있으니 먼저 할 일과 나중 할 일을 가릴 줄 알면 道에 가까우니라. □字義 •物(물건 물) 만물은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다. •所(바 소) ‘~는 바’ 여기서는 ‘~것’ •矣(어조사 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결사. ‘~이다’ ▶ [어구풀이] •物有本末 事有終始(물유본말 사유종시) 만물에는 근본과 끝이 있고 일에는 마침과 시작함이 있다. 근본이라는 것은 인간이 실천해야할 기본도리이다. •知所先後 則近道矣(지소선후 즉근도의) 먼저 할 일과 나중 할 일을 가릴 줄 알면 道에 가까우니라. 자신의 인격을 닦은 연후에 백성을 다스려야한다. ▣도움..

古典名文(110)

以勢交者는 勢傾則絶하고 以利交者는 利窮則散이라 [독음] 이세교자 세경즉절 이리교자 이궁즉산 [출전] 안씨가훈(顔氏家訓) [해석] 세력으로 사귄 사람은 세력이 기울면 끊어지고,이익으로 사귄 사람은 이익이 다하면 흩어진다. □字義 •以(써 이) ‘~로써’ 수단과 방법의 전치사 •勢(세력 세/형세 세) 권력이나 기세의 힘 •傾(기울 경) 세력이 기울면 •則(곧 즉) ‘~면’ 조건과 결과를 나타내는 가정접속사 •絶(끊을 절) 사귐과 왕래가 끊어진다. •窮(다할 궁) 이익이 다하면 •散(흩어질 산) 흩어져 오지 않는다. ▶ [어구풀이] •以勢交者勢傾則絶(이세교자 세경즉절) 권세를 위해 사귀는 사람은 권세가 기울면 끊어진다는 뜻으로, 권세에 빌붙던 사람들은 권세가 사라지면 또 다시 다른 권세를 찾아가면서 이전의 관..

古典名文(109)

走者之遠也나 而不過二里止하고 步者之遲也나 而百里不止라 [독음] 주자지속야 이불과이리지 보자지지야 이백리부지 [출전] 설원(說苑)- 건본(建本) [해석] 달리는 자는 멀리 가고자 하나(뛰어가는 사람은 빠르지만) 이리도 못 가서 멈추고, 걸어가는 사람은 느리지만 백 리를 가도 멈추지 않는다. □字義 •之(갈 지) ‘가다’ 동사로 쓰임 •遠(멀 원) 멀리 •也(잇기 야) 종결의 의미 아님. 문장의 정돈을 위한 조사다. •過(허물 과) 지나가다 •而(말이을 이) 역접접속사 ‘그렇지만’ •遲(더딜 지) 느리다 ▶ [어구풀이] •走者之遠也(주자지속야) 풀이순서: 走者(달리는 자는)/ 遠(멀리)/ 之(가고자)/也(하나) •而不過二里止(이불과이리지) 풀이순서: 而(그렇지만)/二里(이리도)/不過(가지 못하고)/止(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