節 約 *절도 절(竹-15, 6급) *검소할 약(糸-9, 6급) ‘We must conserve energy.’는 ‘우리는 에너지를 ○○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節制 ②儉約 ③節度 ④節約. ‘節約’에 대해 알뜰살뜰 살펴보자. 節자는 ‘(대나무의) 마디’(joint)가 본뜻이었으니, ‘대나무 죽’(竹)이 의미요소로 쓰였다. 卽(곧 즉)이 발음요소였다고 한다. 후에 ‘(대나무처럼 곧은) 지조’(constancy) ‘기간’(period) ‘절도’(moderation) 등으로도 쓰이게 됐다. 約자는 ‘꽁꽁 묶다’(tie up)가 본뜻으로, ‘실 사’(糸)가 부수이자 의미요소로 쓰였다. 勺(구기 작)은 발음요소였는데 음이 약간 달라졌다. ‘약속하다’(promise) ‘검소하다’(fru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