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376

世祿侈富 車駕肥輕

世祿侈富 車駕肥輕 【本文】 世祿侈富 車駕肥輕 세록치부 거가비경 대대로 녹을 받아 사치하고 부유하니 수레의 말 살찌었고 갖옷은 가볍도다. 【훈음(訓音)】 世 인간 세 祿 복 록 侈 사치 치 富 부자 부 車 수레 거 駕 탈것 가 肥 살찔 비 輕 가벼울 경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천자의 행차하는데 천자를 모시는 문무백관들의 모습을 묘사하였는데 이번 장에는 세록지신(世祿之臣)들의 호화스러운 생활상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세록치부(世祿侈富) 대대로 녹을 받아 사치하고 부유하니 세(世)는 회의자(會意字)로, 본래 십(十)을 세 개 합쳐서 '30년, 30년, 오랜 시간의 흐름'의 뜻을 보이며, 전(轉)하여 '세상'의 뜻을 나타내었습니다. 그래서 '인간, 시세, 세대, 대, 해, 평생' 등의 의미로 활용됩니다. ..

千字文 工夫 2020.11.13

高冠陪輦 驅轂振纓

高冠陪輦 驅轂振纓 【本文】 高冠陪輦 驅轂振纓 고관배련 구곡진영 높은 관 쓴 관리들은 임금수레 따르고 수레가 달릴 때면 갓끈이 휘날린다. 【훈음(訓音)】 高 높을 고 冠 갓 관 陪 모실 배 輦 손수레 련 驅 몰 구 轂 바퀴 곡 振 떨칠 진 纓 갓끈 영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왕족이나 공신들에게 봉토를 주고 가병을 주어 우대한 사실을 그렸는데 이번에는 천자가 행차하는데 천자를 모시는 문무백관들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우선 글자부터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고관배련(高冠陪輦) 높은 관 쓴 관리들은 임금수레 따르고 고(高)는 상형자(象形字)로, 높고 큰 문 위의 높은 누다락 모양을 본떠, '높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관(冠)은 멱(冖) + 촌(寸) + 원(元)의 형성자(形聲字)입니다. 원(元)은 '..

千字文 工夫 2020.11.13

戶封八縣 家給千兵

戶封八縣 家給千兵 【本文】 戶封八縣 家給千兵 호봉팔현 가급천병 공신에겐 民戶로 여덟 고을 봉해 주고 그들 집엔 家兵으로 일천 명을 주었도다. 【훈음(訓音)】 戶 지게 호 封 봉할 봉 八 여덟 팔 縣 고을 현 家 집 가 給 줄 급 千 일천 천 兵 군사 병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수도의 중앙정부에는 기라성 같은 장상(將相)이 늘어서서 천자(天子)를 보필하고 있고, 도성의 길가에는 삼공구경(三公九卿), 공경대부(公卿大夫)들의 저택이 즐비함을 보여 도성이 번성함을 묘사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제후(諸侯), 공신(功臣)들에게 나누어 준 봉토(封土)와 가병(家兵)을 준 사실을 그리고 있습니다. 호봉팔현(戶封八縣) 공신(功臣)에겐 민호(民戶)로 여덟 고을 봉해 주고 호(戶)는 상형자(象形字)로 한쪽만 열리는 ..

千字文 工夫 2020.11.13

府羅將相 路俠槐卿

府羅將相 路俠槐卿 【本文】 府羅將相 路俠槐卿 부라장상 노협괴경 조정에는 장수와 재상들이 늘어섰고 길 양 옆은 삼공구경 저택들이 서 있도다. 【訓音】 府 마을 부 羅 늘어설 라 將 장수 장 相 서로 상 路 길 로 俠 낄 협 槐 회화나무 괴 卿 벼슬 경 【해설(解說)】 이제 제9장으로 들어갑니다. 역사적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삼공구경(三公九卿)으로부터 공신들에게 나누어 준 봉급(封給) 이야기, 고관들의 위엄과 부귀공명이야기, 치적을 기록하고 전한 이야기, 열국이 쟁패(爭覇)를 다툰 이야기와 영웅호걸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부라장상(府羅將相) 조정에는 장수와 재상들이 늘어섰고 부(府)는 엄(广) + 부(付)의 형성자(形聲字)로, 엄(广)은 '지붕, 건물'..

千字文 工夫 2020.11.13

杜槀鍾隸 漆書壁經

杜槀鍾隸 漆書壁經 【本文】 杜槀鍾隸 漆書壁經 두고종예 칠서벽경 두도(杜度)의 초서(草書) 초고(草稿) 종요(鍾繇)의 예서(隸書)와 고전자(古篆字)를 칠(漆)로 쓴 벽경(壁經)도 모두 있다. 【훈음(訓音)】 杜 막을 두 槀 볏짚 고 鍾 술병 종 隸 종 례 漆 옻 칠 書 글 서 壁 벽 벽 經 경서 경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정전(正殿)을 중심으로 좌측의 승명전(承明殿)과 우측의 광내전(廣內殿)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광내전은 장서각(藏書閣)이고, 승명전은 서적을 출판하는 편찬소(編纂所)라 하였습니다. 이 장서각에는 삼분오전(三墳五典)을 비롯한 수많은 서적이 있으며, 또 이곳에는 뛰어난 영재들을 모아 나라를 경륜하는 도리를 연구하고 강론하게 하였음을 공부하였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삼분오전(三墳五典)외에 ..

千字文 工夫 2020.11.13

旣集墳典 亦聚群英

旣集墳典 亦聚群英 【本文】 旣集墳典 亦聚群英 기집분전 역취군영 이미 궁엔 三墳五典 고서들을 모았고 또한 많은 뛰어난 英材들을 모았도다. 【훈음(訓音)】 旣 이미 기 集 모을 집 墳 무덤 분 典 법 전 亦 또한 역 聚 모을 취 群 무리 군 英 꽃부리 영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정전(正殿)을 중심으로 좌측의 승명전(承明殿)과 우측의 광내전(廣內殿)이 있는데 광내전은 장서각(藏書閣)이요, 승명전은 서적을 출판하는 편찬소(編纂所)라 하였습니다. 그러니 이곳에는 학문에 정통한 인재들이 모여 있는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어떤 전적(典籍)이 있으며 인재들이 있었는가 하는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우선 글자의 자원부터 알아보고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집분전(旣集墳典) 이미 궁엔 삼분오전(三墳五典) ..

千字文 工夫 2020.11.13

右通廣內 左達承明

右通廣內 左達承明 【本文】 右通廣內 左達承明 우통광내 좌달승명 오른쪽은 藏書處인 廣內殿에 통하고 왼쪽으론 編纂所인 承明殿에 도달한다. 【훈음(訓音)】 右 오른 우 通 통할 통 廣 넓을 광 內 안 내 左 왼 좌 達 통할 달 承 받들 승 明 밝을 명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웅장하고 화련한 궁전에 고관대작(高官大爵)들이 의관(衣冠)을 정제(整齊)하고 밖의 층계를 오르고 안의 납폐(納陛)를 통해 궁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휘황찬란함을 묘사한 것을 공부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정전(正殿)을 중심으로 좌측의 승명전(承明殿)과 우측의 광내전(廣內殿)을 거론하고 있음을 봅니다. 원문에는 우측의 광내전이 먼저 나오고 좌측의 승명전이 나온 것은 문장의 운(韻)을 맞추기 위함입니다. 광내전(廣內殿)과 승명전(承明殿)은 ..

千字文 工夫 2020.11.13

陞階納陛 弁轉疑星

陞階納陛 弁轉疑星 【本文】 陞階納陛 弁轉疑星 승계납폐 변전의성 계단에 올라가서 납폐 통해 들어가니 흔들리는 관장식이 반짝이는 별 같구나. 【훈음(訓音)】 陞 오를 승 階 섬돌 계 納 드릴 납 陛 섬돌 폐 弁 고깔 변 轉 구를 전 疑 의심 의 星 별 성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천자가 머무는 웅장하고 화려한 궁전에서 천자나 황후 등의 경사스러운 일이 있거나 제후 및 군신들이 전공(戰功)을 세웠거나 축하할 일이 있으면 천자가 제후 및 군신들에게 연회(宴會)를 베풀고 음악을 연주하여 군신간에 화합을 도모하고자 하는 모습을 그렸는데 이번 장에서는 웅장하고 화련한 궁전에 고관대작(高官大爵)들이 의관(衣冠)을 정제(整齊)하고 밖의 층계를 오르고 안의 납폐(納陛)를 통해 궁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휘황찬란함을 묘사..

千字文 工夫 2020.11.13

肆筵設席 鼓瑟吹笙

肆筵設席 鼓瑟吹笙 【本文】 肆筵設席 鼓瑟吹笙 사연설석 고슬취생 대자리를 깔아놓아 앉을 자리 마련하고 비파를 연주하고 생황저를 불었도다. 【훈음(訓音)】 肆 늘어놓을 사 筵 자리 연 設 베풀 설 席 자리 석 鼓 북 고 瑟 비파 슬 吹 불 취 笙 생황 생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궁전 내의 많은 건물과 건물 안의 장막과 기둥의 화려함에 대하여 묘사했음을 공부했습니다. 천자문 방학을 한 지 넉 달이 넘었습니다. 꽤 오래 쉬었습니다. 그 동안 신상문제로 못하였는데 다시 재개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 내용은 천자가 머무는 웅장하고 화려한 궁전에서 천자나 황후 등의 경사스러운 일이 있거나 제후 및 군신들이 전공(戰功)을 세웠거나 축하할 일이 있으면 천자가 제후 및 군신들에게 연회(宴會)를 베풀고 음악을 연주하여..

千字文 工夫 2020.11.13

丙舍傍啓 甲帳對楹

丙舍傍啓 甲帳對楹 【本文】 丙舍傍啓 甲帳對楹 병사방계 갑장대영 신하들의 병사문은 정전 곁에 열려 있고 호화로운 갑장은 큰 기둥과 마주했다. 【훈음(訓音)】 丙 남녘 병 舍 집 사 傍 곁 방 啓 열 계 甲 갑옷 갑 帳 장막 장 對 대할 대 楹 기둥 영 【해설(解說)】 지난 장에서는 궁전 전각의 위용, 그리고 궁전 내부의 아름다운 그림과 채색에 대하여 묘사했는데 이번에는 궁전 내의 많은 건물과 건물 안의 장막과 기둥의 화려함에 대하여 묘사하고 있습니다. 병사방계(丙舍傍啓) 신하들의 병사문은 정전 곁에 열려 있고 병사방계(丙舍傍啓)는 무슨 뜻일까요? 丙은 '셋째 천간 병, 남녘 병', 舍는 '집 사', 傍은 '곁 방', 啓는 '열 계'로 새겨집니다. 글자 하나하나 자원(字源)을 알아보겠습니다. 병(丙)은 상형..

千字文 工夫 2020.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