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376

86. 庶幾中庸 勞謙謹勅

86. 庶幾中庸 勞謙謹勅 【本文】 庶幾中庸 勞謙謹勅 서기중용 노겸근칙 중정(中正)의 바른 길인 중용(中庸)의 길 바란다면 공로(功勞)에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경계(警戒)하라. 【訓音】 庶 무리 서 幾 거의 기 中 가운데 중 庸 떳떳할 용 勞 수고할 로 謙 겸손할 겸 謹 삼갈 근 勅 삼갈 칙 【解說】 지난 장에서는 맹자(孟子)가 본성(本性)을 돈독히 했음을 밝힌 맹가돈소(孟軻敦素)와 강직(剛直)한 성품의 소유자인 사어(史魚)가 바름을 견지하여 직간(直諫)을 했다는 사어병직(史魚秉直)에 대하여 공부했는데, 이번 장에서는 중용(中庸)의 길이 무엇인가를 다루고 있습니다. 서기중용(庶幾中庸) 중정(中正)의 바른 길인 중용(中庸)의 길 바란다면 우선 글자의 자원(字源)부터 알아보고 그 뜻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

千字文 工夫 2020.11.14

85. 孟軻敦素 史魚秉直

85. 孟軻敦素 史魚秉直 【本文】 孟軻敦素 史魚秉直 맹가돈소 사어병직 孟子는 素性을 敦篤히 하였으며, 史魚는 剛直하여 바름을 堅持했다. 【訓音】 孟 맏 맹 軻 굴대 가 敦 도타울 돈 素 바탕 소 史 역사 사 魚 고기 어 秉 잡을 병 直 곧을 직 【解說】 지난 번까지는 농정(農政)에 대한 글이었는데, 이번 장부터는 보신(保身)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먼저 맹자(孟子)와 사어(史魚)라는 인물을 들어 맹자는 본바탕인 소성(素性)을 돈독(敦篤)히 했고, 사어(史魚)는 강직(剛直)하여 바름을 견지하였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맹가돈소(孟軻敦素) 맹자(孟子)는 소성(素性)을 두텁게 하였으며 우선 맹가돈소(孟軻敦素)에 대하여 살펴보기 전에 글자를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

千字文 工夫 2020.11.14

稅熟貢新 勸賞黜陟

84. 稅熟貢新 勸賞黜陟 【本文】 稅熟貢新 勸賞黜陟 세숙공신 권상출척 세금은 익은 곡식 공물은 햇곡식 세금따라 상도 주고 내쫓기도 하였다. 【訓音】 稅 구실 세 熟 익을 숙 貢 바칠 공 新 새 신 勸 권할 권 賞 상줄 상 黜 내칠 출 陟 오를 척 【解說】 이번 장에서는 나라에 바치는 조세(租稅)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국가가 존재하는 한 납세는 국민의 의무입니다. 옛날에는 농업국가이기에 농사를 권면(勸勉)하고 새로 수확한 곡물로 세금을 내게 하였고, 신(神)이나 종묘(宗廟)에 바칠 공물(貢物)은 새로 추수한 햇곡식 과일 등으로 헌상(獻上)하도록 하였습니다. 세금을 잘 거두어 들이면 담당관리관은 상을 주어 표창하고 임무를 완수하지 못한 담당관은 삭탈관직시켜 내쫓았습니다. 이것이 세숙공신 권상출척..

千字文 工夫 2020.11.14

俶載南畝 我藝黍稷

83. 俶載南畝 我藝黍稷 【本文】 俶載南畝 我藝黍稷 숙재남묘 아예서직 봄이 되면 남쪽 밭서 농사를 시작하니 이때 나는 찰기장과 메기장을 심는다. 【訓音】 俶 비로소 숙 載 실을 재 南 남녘 남 畝 이랑 묘 我 나 아 藝 재주 예 黍 기장 서 稷 기장 직 【解說】 앞 절에서 치본어농 무자가색 (治本於農 務玆稼穡)을 들어,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은 농사에 있음을 밝히고 이에 곡식을 심고 거두는 일에 힘써야 한다 하였습니다. 이번 절에서는 '숙재남묘 아예서직 (俶載南畝 我藝黍稷)'이라는 구절을 통하여 구체적인 농사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글자의 자원(字源)부터 살펴보고자 합니다. 숙재남묘(俶載南畝) 봄이 되면 남쪽 밭서 농사를 시작하니 숙(俶)은 인(人) + 숙(叔)의 형성자(形聲字)로, '숙(叔)'은 '마..

千字文 工夫 2020.11.14

治本於農 務玆稼穡

治本於農 務玆稼穡 【本文】 治本於農 務玆稼穡 치본어농 무자가색 나라를 다스림은 농사에 근본하니 곡식 심고 거두는 일 힘써야 할 일이다. 【訓音】 治 다스릴 치 本 근본 본 於 어조사 어 農 농사 농 務 힘쓸 무 玆 이 자 稼 심을 가 穡 거둘 색 【解說】 제11장에서는 농사는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임을 밝히는 한편 자연의 본성을 깨달아 정직하여 바른 길을 행할 것이며 현명한 사람은 중용의 길로 갈 것과 늘 겸손하고 신칙할 것을 경계하고 덕성을 함양하여 언제나 몸과 말과 뜻을 바르게 가질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선 농사는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임을 밝힌 치본어농(治本於農)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글자의 자원(字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치(治)는 수(水) + 이(台)의 형성자(形聲字)로, '이(台..

千字文 工夫 2020.11.14

曠遠綿邈 巖岫杳冥

曠遠綿邈 巖岫杳冥 【本文】 曠遠綿邈 巖岫杳冥 광원면막 암수묘명 山川은 넓고 멀어 아득하고 막막하며 巖穴과 산봉우리 그윽하고 아득하다. 【訓音】 曠 넓을 광 遠 멀 원 綿 솜 면 邈 멀 막 巖 바위 암 岫 묏부리 수 杳 아득할 묘 冥 어두울 명 【解說】 이번의 편은 중국 산천의 광활함을 찬탄하며 큰 자부심을 과시한 글이라 하겠습니다. 광원면막(曠遠綿邈) 산천(山川)은 넓고 멀어 아득하고 막막하며 좀 어려운 글자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자원(字源)의 설명을 읽고 보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광(曠)은 일(日) + 광(廣)의 형성자(形聲字)로, 광(廣)은 '넓고 크다' 의 뜻입니다. 해[日]가 넓게[廣] 비추어 '밝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파생(派生)하여, '너무 넓어 공허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본뜻..

千字文 工夫 2020.11.14

昆池碣石 鉅野洞庭

昆池碣石 鉅野洞庭 【本文】 昆池碣石 鉅野洞庭 곤지갈석 거야동정 못으로는 昆明池요 산으로는 碣石山 평야로는 鉅野요 호수로는 洞庭湖다. 【訓音】 昆 맏 곤 池 못 지 碣 비 갈 石 돌 석 鉅 클 거 野 들 야 洞 골 동 庭 뜰 정 【解說】 중국에는 오악(五嶽) 뿐만 아니라 험한 산, 넓은 호수와 못, 그리고 드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는데, 못으로는 곤지(昆池)요 산으로는 갈석산(碣石山)이며, 평야로는 거야(鉅野)요 호수로는 동정호(洞庭湖)라 합니다. 여기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는지 하나하나 공부해 보겠습니다. 곤지갈석(昆池碣石) 못으로는 곤명지(昆明池)요 산으로는 갈석산(碣石山) 곤(昆)은 일(日) + 비(比)의 회의자(會意字)로, 태양[日] 아래 여럿이 나란히[比] 모여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함께ㆍ..

千字文 工夫 2020.11.14

雁門紫塞 鷄田赤城

雁門紫塞 鷄田赤城 【本文】 雁門紫塞 鷄田赤城 안문자새 계전적성 높고 험한 雁門關엔 萬里長城 紫塞 있고 아득한 鷄田과 赤城이란 곳도 있다. 【訓音】 雁 기러기 안 門 문 문 紫 붉을 자 塞 변방 새 鷄 닭 계 田 밭 전 赤 붉을 적 城 재 성 【解說】 계전적성(鷄田赤城) 아득한 계전(鷄田)과 적성(赤城)이란 곳도 있다. 계(鷄)는 조(鳥) + 혜(奚)의 형성자(形聲字)로, '혜(奚)'는 '매다'의 뜻입니다. 가축으로서 매어 두는 새, '닭'의 뜻을 나타냅니다. 계지시축(鷄知時畜)이라 했으니, 닭은 때를 알리는 집짐승이라 했습니다. '계(鷄)'의 본자(本字)는 '계(雞)'입니다. 전(田)은 상형자(象形字)로, 구획된 사냥터나 경작지의 상형(象形)으로, '사냥, 논밭'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구(口)와 십(..

千字文 工夫 2020.11.14

嶽宗恒岱 禪主云亭

嶽宗恒岱 禪主云亭 嶽宗恒岱 禪主云亭 山嶽은 恒山과 岱山이 으뜸이요 封禪엔 云云山과 亭亭山이 근본이다. 【訓音】 嶽 큰산 악 宗 마루 종 恒 항상 항 岱 대산 대 禪 봉선 선 主 임금 주 云 이를 운 亭 정자 정 【解說】 동악태산(東岳泰山) 중국 유광(劉曠) 2003年 作 선주운정(禪主云亭) 봉선(封禪)엔 운운산(云云山)과 정정산(亭亭山)이 근본이다. 선(禪)은 시(示) + 단(單)의 형성자(形聲字)로, '단(單)'은 '단(壇)'과 통하여, 평탄한 대지(臺地)의 뜻입니다. '단(壇)을 설치하여 하늘에 제사하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또 '임금 자리를 물려주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불교가 중국에 들어온 후에는 '참선하다'의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주(主)는 상형자(象形字)로, 등잔 접시 위에 불이 타고 있는..

千字文 工夫 2020.11.13

九州禹跡 百郡秦幷

九州禹跡 百郡秦幷 【本文】 九州禹跡 百郡秦幷 구주우적 백군진병 九州는 禹임금이 全域 나눈 자취이고 百郡은 秦始皇이 幷合한 후 나누었다. 【訓音】 九 아홉 구 州 고을 주 禹 우임금 우 跡 자취 적 百 일백 백 郡 고을 군 秦 진나라 진 幷 어우를 병 【解說】 지난 장에서는 구주우적(九州禹跡)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 바 있습니다. 고대(古代)에 나라를 경영함에 있어 우(禹)임금이 치수(治水)에 성공한 뒤에 구주(九州)를 나눈 업적을 공부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진시황(秦始皇)이 군웅할거(群雄割據)하던 전국(戰國)을 통일한 후 봉건제(封建制)에서 군현제(郡縣制)로 개편한 사실을 적시한 백군진병(百郡秦幷)에 대하여 공부해 보고자 합니다. 백군진병(百郡秦幷) 백군(百郡)은 진시황(秦始皇)이 병합(幷合)한 후 나..

千字文 工夫 2020.11.13